목차
Ⅰ. 서론
Ⅱ. 비극을 이끌어 나가는 힘 - 인물
Ⅲ. 작품 별 주요 인물 분석
(1) 문제적 인간, 연산 - 이윤택
1) 운명을 거부하려 했던 연산
(2) 만선 - 천승세
1) 가족들마저 죽음으로 몰아넣은 끝없는 욕심 - 곰치
(3) 산불 - 차범석
1) 전통적 의식 파괴 - 점례와 사월
2) 도태된 남자들 - 규복과 P부락의 남자들
3) 이데올로기의 대립 - 양씨와 최씨
4) 그들만의 행복 - 김 노인과 귀덕
(4) 돐날 - 김명하
1) 잃어버린 자신 - 지호
2) 현실 속 부조리 - 정숙
3) 자신의 존재에 대한 환멸 - 경주
4) 진정한 여성상을 찾아서 - 신자와 미선
5) 남성중심주의 - 성기, 경우, 달수, 강호
Ⅳ. 결론
본문내용
Ⅰ. 서 론
비극(tragedy)은 ‘산양의 노래’를 뜻하는 그리스어 Tragoedia(tragos: 산양 + ode: 노래)에서 유래되었다. 염소가 디오니소스 축제 때 희생물로 바쳐졌다는 점에서 그 축제와의 관련은 물론이고 비극적 의미까지 띠게 되었으며, 그것이 좀더 의식적인 형태로 발전하면서 비극을 탄생시키게 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비극의 개념은 시대별로 조금씩 변화를 겪어 왔으나, 가장 본질적이며 보편적인 비극의 개념은 인간은 삶의 변덕성, 혹은 개인을 초월하는 힘 앞에서 선택적으로 행동할 수밖에 없다는, 인간과 세계의 철저한 이원론에서 출발한다. 선한 사람이 고통을 받고 또 본성에 내재되어 있던 악이 선량한 사람을 파괴할 수 없으며, 세계의 정의는 마지막에 가서 회복되기는 하나, 선한 사람에게 보상이 이루어지지는 않는다는, 혼돈 되고 불안한 세계상을 적나라하게 펼쳐 보여주는 것이 비극이다. 즉 비극은 개인의 의지와 운명이 세계와 갈등을 빚는 구체적인 모습을 보여준다. 관객은 비극을 통해 우리의 삶을 만들어 가고 혹은 파괴하는 힘이 개인의 이성이나 정의의 바깥에 있다는 부조리한 깨달음을 얻게 된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시학》에서 비극이 갖추어야 할 기본적 자질로 진지하고 일정한 크기의 완결된 행동, 쾌적한 언어, 서술적이 아닌 드라마적 형식, 연민과 공포의 정서를 환기시키는 사건, 감정의 정화 등을 제시했다. 이 중 앞의 3개의 항목은 희곡의 일반적인 특성과 관련되는 것이므로 비극의 본질적 요소는 연민과 공포의 정서를 환기시키는 플롯과 그것을 가능케 하는 인물, 그리고 그것의 효과인 감정의 정화이다.
본고에서는 <문제적 인간 연산>, <만선>, <돐날>, <산불>이라는 비극 속에서 나타나는 인물들의 성격들을 분석하고, 이 인물들이 비극 안에서 느끼는 공포와 운명을 어떻게 받아들이고 나가려고 하는지 살펴보도록 하겠다.
Ⅱ. 비극을 이끌어 나가는 힘 - 인물
19세기 전까지만 해도 비극의 인물이 갖추어야 할 조건은 첫째, 주인공은 행복에서 불행으로 전락해야 한다. 둘째, 완전무결한 인격을 갖추어서는 안된다.
참고 자료
프리드리히 니체, 「비극의 탄생」, 아카넷, 2007.
테리 이글턴,「우리 시대의 비극론」, 경성대학교 출판부, 2006.
레이먼드 윌리엄즈, 「현대비극론」, 학민사, 1985.
차범석, 「산불」, 『한국현대대표희곡선집2』, 월인, 1999.
천승세, 「만선」, 『한국현대대표희곡선집2』, 월인, 1999.
이윤택, 「문제적인간, 연산」,『도솔가-이윤택 희곡집』, 평민사, 2000.
김명화, 「돐날」,『카페 신파』, 연극과 인간, 2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