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정이념으로서의 합리성에 대한 관련이론과 사례를 통한 실현방안
- 최초 등록일
- 2015.10.22
- 최종 저작일
- 2015.06
- 18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000원
목차
Ⅰ. 서론
1. 합리성의 의의
Ⅱ. 합리성에 대한 논의
1. ‘M. 베버(Max Weber)’의 합리성
2. ‘만하임(K. Manheim)’의 합리성
3. ‘사이먼(H. A. Simon)’의 합리성
Ⅲ. 합리성의 본질
1. 합리성의 다의성
2. 합리성의 철학적 접근
Ⅳ. 정책결정과 합리성
Ⅴ. 합리성의 실현방안
1.정책결정과정에서의 합리성에 관한 논의
2. 시사점
Ⅵ. 결론
본문내용
Ⅰ. 서론
1. 합리성의 의의
1) 정의
합리성은 목표달성에 필요한 최적 행동 대안을 정확하게 계산하여 선택하는 행동의 특성을 지칭한다. 이것은 수단과 목표를 연결하는 행동의 최적성에 관한 개념이며 행동자의 의도성을 전제로 하는 개념이다.
같은 비용으로 목표달성을 최대화할 수 있는 대안을 선택하는 행동, 또는 최소의 비용으로 목표를 달성할 수 있는 대안을 선택하는 행동이 합리적 선택이다. 합리적 선택은 유일최선의 선택(choice of one best way)을 지향한다. 명확하고 구체적으로 규명되어 있는 조건 하에서 최적의 선택을 하는 사람을 합리적 인간이라 한다.
위와 같이 규정되는 ‘내용적 합리성’ 또는 ‘완전한 합리성’은 I)명확히 규정된 목표가 주어진다는 것, ii)문제해결에 필요한 모든 대안을 알 수 있다는 것, iii) 각 대안의 결과를 알 수 있다는 것, iv) 명확한 선호의 우선순위에 비추어 대안들을 비교할 수 있다는 것, v) 선호되는 최적대안을 선택할 수 있다는 것 등의 조건을 전제로 한다.
2) 개념정의의 차원
합리성을 보는 일반적인 관점에 대해서는 위와 같이 상당한 합의가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구체적인 차원에 관련해서는 연구인들의 의견이 같지 않다. 합리성 규정의 준거 또는 차원에 따라 개념정의의 접근방법이 갈려 있다.
개인적 차원에서 좁은 의미로 합리성을 정의하는 사람들은 소망과 신념이 외재적으로 주어졌음을 가정하고 행동의 일관성에 초점을 맞춘다. 이때의 합리성은 일관성과 같은 뜻이 되며 내용적 합리성은 간과된다. 개인적 차원에서 넓은 뜻으로 합리성을 정의하는 사람들은 일관성뿐만 아니라 내용적 합리성까지 합리성의 구성요소로 본다.
집단적 차원에서 좁은 뜻으로 합리성을 정의하는 사람들은 집단적 선호체계와 신념체계의 내적 일관성 그리고 선호∙신념과 집단행동 간의 일관성을 합리성의 구성요소로 본다. 집단적 차원에서 합리성을 넓은 의미로 규정하는 사람들은 집단적 선호의 내용적 합리성을 강조한다. 이기적인 개인선호를 순화시켜 사회구성원들로 하여금 사회의 공동선을 추구하도록 하는 합의 도출 과정을 중시하기 때문이다.
참고 자료
오석홍, 『행정학』(2004).
이종수 외, 『새 행정학』 (2008.8.20.).
이명훈, 『행정학의 맵과 틀』(2004.8.31.).
김철회, (2011). ‘정치적 합리성과 경제적 합리성의 조화를 통한 공감형R&D 재원 배분 원칙과 기준’, 한국행정학회 하계학술대회
신충식, (2010). ‘국정관리(police)의 원리로서 통치합리성에 관한 연구:미셸 푸코를 중심으로’, 한국행정학회 동계학술대회
박통희, (1999). ‘합리적 선택과 신제도주의’, 한국행정학보 제33권 제1호.
이성우, (2011). ‘합리성, 합리적 논증과 정책연구의 패러다임’, 한국행정학회 하계학술대회
윤견수, (2011). ‘관료제의 합리성과 공직의 질’, 한국행정학회 하계학술대회
김항규, (1995). ‘정책결정과정에서의 정치적 합리성 확보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행정학보 제29권 제3호. 한국행정학회.
최종원, (1995). 합리성과 정책연구. 한국정책학회보 제4권 제2호. 한국정책학회.
가톨릭 뉴스, http://www.nahnews.net/news/quickViewArticleView.html?idxno=23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