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racture, 골절(대퇴골 골절), 간호학과, 정형외과 case, 실습케이스, OS, 정형외과 케이스
- 최초 등록일
- 2015.09.10
- 최종 저작일
- 2015.04
- 14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000원
목차
Ⅰ.서론
1.연구 필요성
2.연구기간 및 방법
Ⅱ.문헌고찰
1.질병의 정의
2.원인 및 위험소인
3.병태 생리
4.증상 및 징후
5.진단 방법
6.치료 및 간호
Ⅲ.간호과정
1.간호사정
2. 의학적 치료 내용
3. 간호과정 적용
Ⅳ.참고문헌
Ⅴ. 결론 및 제언
본문내용
Ⅰ. 서론
1.연구 필요성:
hip joint는 shoulder joint에 이어서 두 번째로 ROM이 넓으며 FEMUR와 PELVIS를 이어줘 체중 부하와 체중 전달을 하기 때문에 관절의 안정성이 매우 중요한 부위이다. 그럼에도, hip joint에 문제가 생기면 진단이 힘들어 본의 아니게 방치 하는 경우가 많다. 대표적인 고관절 질환에는 노화에 의한 퇴행성 관절염이나 대퇴골두무혈성괴사, 고관절주위 골절, 선천성 천성 고관절 탈구 등이 있다. 특히 우리나라는 폭음위주의 잘못된 음주문화로 인해 30~50대 젊은 남성에게서도 대퇴골두무혈성괴사 발병이 크게 늘어나고 있다. 하지만 역시 고관절질환의 대부분은 노인성 퇴행성 관절염과 골다공증에 의한 대퇴경부의 골절 등이 차지하고 있다.
그 중 OS과에서 가장 흔한 골절에 대하여 특히 대퇴골 골절에 대해 조사해 보고자 한다.
<그 림>
연구기간:
- 2015년 4월 1일~2015년 4월 7일
연구방법:
- 대상자와의 면담
- 환자의 EMR 참고
- 문헌고찰
Ⅱ.문헌고찰
1.질병의 정의
골절(fracture of bone) : 외부적 힘에 의하여 골조직의 연속성이 파괴된 상태이다. 골절은 다양한 부위와 연령에서 발생할 수 있으며, 기본적인 병태생리 기전과 간호는 골절 부위나 형태에 관계없이 동일하다.
대퇴골 골절(shaft of the femur) : 이 골절은 과도한 충격이 가해졌을 때 발생하는데, 자동차사고와 높은 곳으로부터의 낙상사고와 관련이 있으며, 젊은이나 중년남성에게 흔하다. 따라서 현저한 전위와 변형을 초래하고 부종, 연조직손상 및 계속적인 출혈이 있게 된다. 출혈량이 많으면 쇼크에 빠지기도 한다. 골절은 횡선, 사선, 나선형 또는 분쇄골절 형태를 보인다.
2.원인 및 위험소인
1)원인
직접적인 충격 : 힘의 작용지점에서 뼈가 파괴된다.
응전력 : 뼈를 뒤틀리게 하여 힘의 작용지점에서 떨어진 곳에 골절을 일으킨다.
강력하고 급작스런 근육의 수축 : 골절을 초래할 수 있다.
참고 자료
전시자 외(2005년 1월), 성인간호학 하(제4판), 서울시 : 현문사, 404~439p, 1057p
김금자 외(2012년 3월), NANDA 간호진단과 중재 가이드(제 2판),서울 : 현문사, 다쪽 참조
이은옥 외(2002년 2월), 성인간호학(제 4판) 서울시 : 신관출판사, 다쪽 참조
이향련 외(2008년 1월), 성인간호학Ⅱ, 서울시 : 수문사, 700~
https://ih.hyumc.com(한양대학교국제병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