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거버넌스의 개념, 도시거버넌스의 특성, 거버넌스에 대한 본인의 의견
- 최초 등록일
- 2015.08.21
- 최종 저작일
- 2014.11
- 3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소개글
시대의 변화에 따라 정부 중심의 위계구조와 조정 양식의 문제점과 한계가 노출되면서, 선진국을 중심으로 국가 차원의 사회 통합과 발전을 관리하는 능력에 관심의 초점을 두게 되었다. 그 결과, 더 나은 정부를 구현하기 위한 노력으로 민간과 정부 간의 협력 관계를 강조하며 도출된 개념이 새로운 민-관의 모형으로 제시된 ‘거버넌스’이다. 이 보고서에서는 거버넌스의 개념 및 특성을 시대의 흐름을 통해 이해하고 정부의 거버넌스는 필요의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는지 논의하고자 한다.
목차
1. 도시거버넌스의 개념
2. 도시 거버넌스의 특성
3. 거버넌스에 대한 본인의 의견
본문내용
● 도시거버넌스의 개념
도시거버넌스는 도시정부와 민간부문, 공식·비공식 요인 및 행위자들이 공동으로 도시문제를 논의하고 해결을 위한 방안을 협력적으로 모색하는 방식을 의미한다. ‘거버넌스’는 네트워크 형태의 과정적 접근으로 이해되며, 관계된 행위자들 사이에 지속적인 학습과 토의를 거쳐 유연적·협력적으로 문제 해결을 위한 대안을 탐색하는 접근 방식이라고 할 수 있다.
도시 거버넌스는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의 출현, 공공과 민간부문 사이에 정치권력의 분권화, 그리고 사회·경제·정치적으로 불확실성이 증대된 상황에서 출현한 새로운 도시정부 운영 방식이다. 그리고 이러한 새로운 방식을 통해 정책이 논의되며, 다양한 집단이 정책에 참여하여 정보를 공유하고, 통합을 추진하며, 정책의 투명성, 책임성, 명료성 등을 강조하는 도시정부 운영방식으로 이해될 수 있다.
한국 학계에서도 거버넌스는 다양하게 정의되고 있으나 정의의 핵심만 통합하여 간추린다면 도시 거버넌스는 도시문제를 해결하거나, 도시정책을 결정하는데 수직적 관계가 아닌 수평적 관계에서 함께 참여하고, 함께 만들고, 함께 해결하며, 책임도 함께 지는 공공·의사 결정방식으로 이해할 수 있다.
참고 자료
김천권(2014),현대 도시행정, 대영문화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