Ⅱ. 본론
1. 사용연료별 친환경자동차의 장단점과 전망
2. 친환경자동차 산업 현황
3. 친환경자동차 산업 향후 전망
Ⅲ. 결론 및 결과
Ⅳ. 참고자료 및 출처
본문내용
Ⅰ. 서론
21세기 들어 각국 정부에서는 환경보호 및 지속가능한 녹색성장을 구현하기 위하여 친환경자동차 산업 육성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특히 친환경자동차는 새롭게 등장하고 있는 안보 패러다임 즉, 에너지안보 확보라는 측면에서 석유자원의 의존도를 줄이고자 하는 각국의 정치적 이해가 맞아떨어져 앞으로 친환경자동차는 세계 자동차 시장의 주류로서 급부상할 것이라 예상되고 있다. 본 고에서는 이러한 친환경자동차 산업의 향후전망에 대하여 논해보고자 한다.
Ⅱ. 본론
1. 사용연료별 친환경자동차의 장단점과 전망
가. 하이브리드
최초의 친환경자동차는 하이브리드 형태로 지난 1996년 출시된 도요타 프리우스였다. 도요타 프리우스 출시 이후 세계 자동차 기업들은 앞 다투어 친환경자동차 시장 선점을 위해 매년 다양한 모델의 하이브리드 친환경자동차를 의욕적으로 선보이고 있는데, 지금은 이러한 하이브리드 친환경자동차가 진화를 거듭하여 TV나 전자레인지와 같은 가전기기처럼 콘센트에 플러그만 꽂으면 충전되는 편리한 친환경자동차로 진화하게 되었다. 그러나 하이브리드 친환경자동차는 내연기관과 혼용하여 사용한다는 것에서 이산화탄소 배출에서 자유롭지 못할 뿐만 아니라 완전한 의미에서의 친환경자동차가 아니라는 한계가 있다고 할 것이다.
나. 전기자동차
순수 전기를 동력원으로 하는 자동차는 20세기에도 컨셉트카 개념으로 꾸준히 계발된 바 있다. 그러나 전기자동차는 그 동안 배터리 효율문제로 상용화되지 못하였다가, 21세기 들어 리튬배터리가 개발되면서 급속도로 그 세를 확장하고 있다. 현재 친환경전기자동차에 들어가는 리튬배터리는 1시간 충전으로 약 180km를 주행할 수 있는 기술적 수준에 도달하였지만 아직까지도 친환경전기자동차는 전통적 내연기관 자동차에 비하여 주행거리가 짧고 충전 인프라가 미약하여 최종 소비자들에게 외면받고 있다.
참고자료
· 친환경 자동차 그린카 시장 실태와 개발전망. 이슈퀘스트 편집부 저. 이슈퀘스트. 2014.07.21.
· Motor Fan 친환경 자동차. 골든벨 편집부 저. 골든벨. 2011.09.09.
· 친환경자동차 그린카 동향과 기술개발 전략. 이슈퀘스트 산업조사실 자동차산업 프로젝트팀 저. 이슈퀘스트. 2012.11.13.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