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업병 예방 및 관리방법
- 최초 등록일
- 2015.07.01
- 최종 저작일
- 2015.05
- 14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500원
소개글
A+받은 과제입니다.
목차
Ⅰ. 직업병 개요
1. 직업병 정의
2. 직업병 특성
3. 직업병 원인
4. 직업병 분류(원인별)
Ⅱ. 직업병 예방
1. 직업병 예방대책
2. 구체적인 직업병 예방대책: 대치, 보호, 감독, 청결 및 교육
3. 직업병 종류별 예방대책
Ⅲ. 직업병 관리
1. 작업환경측정
2. 생물학적 모니터링
3. 의학적 감시
4. 직업병의 진단과 사후조치
본문내용
직업병 예방 및 관리방법에 대해 기술하시오.(직업병 개요, 예방 및 관리방법)
Ⅰ. 직업병 개요
1. 직업병 정의
직업성 질환은 근로자들이 그 직업에 종사(특수한 작업 환경에 폭로)함으로써 발생하는 상병을 말하며, 업무와의 명확한 인과관계가 있는 것을 말한다. 직업성 질환은 재해성 질병과 직업병으로 나누어지며, 직업병은 만성적 경과를 밟게 되므로 직업과의 인과관계를 규명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다. 좁은 의미의 직업병은 ‘직업 즉 노동과정이 원인적으로 연관되어 있는 질병으로 근로자가 장기간 유해한 작업환경 및 작업조건하에서 어떤 직업에 종사함으로써 발생되는 질병’으로 정의되고 거기에 포함되지 않은 부분은 “직업성 질환”이라는 용어를 사용한다. 때로는 “직업성 질환은 넓은 의미의 직업병과 같은 내용으로 사용하는 경우가 있는데 직업과의 관련이 확실하게 규명되지 않은 질환이나 이상상태를 염두에 두고서 사용할 때이다.
우리나라의 경우 산업안전보건법에 유기용제 54종, 특정 화학물질 42종, 금속 및 중금속 11종, 분진 3종, 물리적 인자 8종, 기타 유해인자 1종 등 유해물질별로 직업성 질환 원인 물질이 열거되어있으나 실제 보상과 관련된 업무상 질병은 근로기준법 시행령 제 44조에 38개 항목에 걸쳐 제정되어 있다. 우리나라 근로기준법에 정의된 직업성 질환의 정의는 다음과 같다.
(중략)
업무상의 질병여부 판단 시 고려사항
① 업무내용과 종사기간
② 작업환경과 취급하는 원자재, 중간 생산물, 부산물 제품의 유해ㆍ유독성 및 정도
③ 중독 등 해당 직업병의 특유한 증상이나 또한 의학적 경험 법칙상 통상 일어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는 임상소견의 유무
④ 발병까지의 시간 간격 및 증상 경과
참고 자료
최연희 외, 2014, 지역사회보건간호학Ⅱ, 수문사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www.kosha.or.kr)
네이버 지식백과(terms.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