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기업이 지속적인 혁신에 실패하는 대표적인 이유
3-1. 안주와 자만
3-2. 무분별한 benchmarking
4. 포스코의 혁신 사례
4-1. 기존 소개 자료를 통한 포스코의 혁신 사례
4-2. hardware 주류 기업의 soft 혁신 - 포스코 미얀마 사업
5. 결론 및 의견
본문내용
1.Introduction
전 세계 비즈니스 고객 및 분야별 전문가들에게 지식 정보를 제공하는 세계적인 기업인 톰슨 로이터의 IP & 사이언스 사업부는 네번째를 맞이하는2014 Top Global Innovators[1] 의 발표를 통해 전세계 혁신 분야를 선도하고 있는 100대 혁신 기업을 선정하고 있는데간략히 1위부터 10위까지 순위를 살펴보면 아래 표 1. 과 같다.
위의 리스트를 유심히 보면 혁신적인기업이 반드시 경영 실적도 뛰어나지는 않는다 라는 재미있는 사실을 발견할 수 있는데일례로, 프랑스의 통신•네트워크 회사인 Alcatel-lucent는 최근 몇 년간 전세계 전자 산업의 혁신 trend를 주도하고 있는 mobilecategory에서의 사업부진으로 해당 사업부를 중국의 TCL에 매각하였고, Altera의 경우 SOC•회로 설계에서의 매출 순위는 대만 기업인 Xilinx 에 그 왕좌를 넘겨 주었다고 해도 무방할 지경이다.또한 Asahi Glass의 경우 의욕적으로 추진한 Display용Glass 사업이 최대 매출처인Sharp사의 경영악화와 더불어 삼성 디스플레이와 LG 디스플레이가 디스플레이 시장의 과반 이상을 장악함으로 인해해당 사업에서 큰 이익을 내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즉,기업이사업을 영위하고 있는 category 내에서 혁신적인 기술을 개발하였다고 하여도 시장에서 환영 받지 못하는 기술인 경우나 아니면 경영에 직접적인 이익에 반영되지 못할 경우 혁신이라는 것은 단지 허울 좋은 구호에 그칠 뿐 기술 혁신을 위해 투입된 막대한 자금을 회수하지 못해 사업의 존망을 걱정해야 되는 시대가 되었다.하지만, 기업의 혁신과 혁신에 대한 노력은 절대 평가 절하되어서는 안 되는데 이것은,모든 경쟁자가 혁신을 위해 노력하고 있기 때문에 개별 기업 입장에서는 혁신을 위한 노력과 그 혁신의 결과물이 불행하게도 경영 이익에많은 기여를 못할 수는 있겠지만,만약 그런 이유로 기업이 혁신을 게을리 하게 된다면 즉시 시장에서 도태되는 환경도 또한 조성된 시대라는 점 때문이다.
참고자료
· 톰슨로이터 Top 100 global innovators. ”http://thomsonreuters.com/en/press-releases/2014/thomson-reuters-names-the-2014-top-100-global-innovators.html”
· 2015 다보스포럼 글로벌 지속 가능 경영 100대기업 list. “http://www.corporateknights.com/reports/global-100/#requestReport”
· Schumpeter, Joseph A. “Capitalism, socialism and democracy.” Routledge, 2013.
· Schumpeter, Joseph Alois. “The theory of economic development: An inquiry into profits, capital, credit, interest, and the business cycle.” Vol. 55. Transaction publishers, 1934.
· Berry, Leonard L. "Relationship marketing of services—growing interest, emerging perspectives." Journal of the Academy of marketing science 23.4 (1995): 236-245.
· Drucker, Peter Ferdinand, and George Wilson. “The essential drucker.” Vol. 81. Oxford: Butterworth-Heinemann, 2001.
· Argyris, Chris. "Teaching smart people how to learn." Harvard business review 69.3 (1991).
· 장용수. “기술후발기업이 기술선도기업으로 변모하기 위한 단계별 성공요인: 포스코 사례를 중심으로 한 동태적 메커니즘 분석.” 서울대대학원, 2008.
· 허남석과 포스코 사람들. “강한 현장이 강한 기업을 만든다.” 김영사, 2009.
· 포스코 경영연구소. “Smart Steel” 포스코 경영연구소, 1996.
· Kotra 국가 정보 보고서-미얀마. “http://www.kotra.or.kr.”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2010.01
· 남장근, 강지현. “최근 일본의 對미얀마 진출 동향과 시사점.” 산업연구원, 2012.12
· 이고은. “중국 철강 산업의 구조조정 현황과 한국의 대응전략”,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2014.11
· 서욱진. “미얀마 포스코가 판 건 아연강판 아닌 '眞心' 이었다.” 한국경제신문, 2012.11.14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