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실험 목적
일·에너지 정리는 비 보존력이 한 일이 총 역학적 에너지 변화량과 같다는 정리이다. 비 보존력(마찰력)이 있을 때 실제 일·에너지 정리의 유효성을 알아보기 위해, 이번 실험시간에는 마찰력의 일과 중력의 위치에너지 변화량을 측정하여 가 성립하는지 검토해본다.
<중 략>
계수가 정지마찰계수의 68.7%인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정지마찰계수가 운동마찰계수보다 더 크므로, 마찰계수에 수직항력을 곱한 값인 마찰력 또한, 최대정지마찰력이 운동마찰력보다 큰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운동 마찰력이 최대 정지 마찰력보다 작은 이유는 물체가 운동하면서 운동을 방해하던 원자들을 많이 밀어내기 때문이다.
<중 략>
마찰계수의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는 물체의 재질, 표면의 매끄러운 정도가 있다. 수레의 바퀴와 트랙은 둘 다 재질이 철이다. 반면, 나무토막은 재질이 나무이고, 트랙의 재질은 철이다. 따라서 나무토막의 운동마찰계수가 수레의 운동마찰계수보다 크다는 말은 나무토막과 트랙이 서로 맞닿는 면이 수레바퀴와 트랙이 서로 맞닫는 면보다 더 거칠다는 걸 알 수 있다.
바퀴가 구를 때 접촉면에서 바퀴의 찌그러짐과 원상 복원이 매 순간 일어나는데, 이 과정에서 마찰력이 발생하고, 이 마찰력을 구름 마찰력이라고 부른다. 바퀴는 바퀴와 접촉면의 운동마찰력을 구름마찰력으로 바꾸어 주는 역할을 한다. 평면과 평면의 운동마찰력 보다는 바퀴와 지면에 의한 구름마찰이 훨씬 작은데, 그 이유는 바퀴와 바닥면사이의 접촉시간이 매우 짧아서 상대적으로 마찰력을 적게 받기 때문이다. 따라서 수레의 운동마찰계수(구름마찰계수)가 나무토막의 마찰계수의 비해 약 107배 작다. 즉, 구름 마찰력이 운동 마찰력보다 크기가 더 작으므로, 수레의 바퀴는 에너지 손실을 줄이는 데 효과적이라고 할 수 있다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