Ⅱ. 예배 순서의 요건 및 흐름
1. 오르간 전주(the organ prelude)
2. 예배로 부름(the call to worship)
3.기원(invocation)
4.찬양과 경배의 찬송(hymn of praise)
5.성시교독
6.고백의 기도(prayer of confession)
7.용서의 말씀
8.영광송(Gloria Patri)
9.중보의 기도(the prayer of intercession)
10.말씀봉독(scriptural lesson)
11. 찬양대의 찬양(the anthem)
12. 설교 전 기도(prayer for illumination)
13. 설교(preaching)
14. 설교 후 기도
15. 감사와 응답의 찬송(hymn of response)
16. 봉헌(offering)
17. 강복 선언(축도-Benediction)
18. 예전
Ⅲ. 나가는 말
본문내용
Ⅰ. 들어가는 말
매주일 드려지는 예배의 내용과 순서는 어떠한 의미가 있으며 하나님 받으시기에 합당하게 드려지고 있는가?에 대한 의문을 갖고 고민하는 사람이 과연 몇 명이나 있을까? 많은 이들이 예배 순서의 진정한 의미를 모른 채 맹목적으로 행하는 경향들이 있기 때문에 여기서는 개신교에서 드려지고 있는 예배 순서들을 살피면서 그 내용과 의미에 대해 이야기 할 것이다.
영혼이 없는 몸이 죽은 것이듯 내용이 없는 형식은 죽은 행위일 뿐이다. 예배의 의미를 잘 알지 못하고 드리고 있다면 예배가 아닌 집회로 전락할 수 있다. 그렇기에 예배의 뜻를 알고 바르게 행하는 것은 중요하며 예배자가 꼭 알아야 할 필수 사항이라 하겠다. [요한복음 4:23,24 너희는 알지 못하는 것을 예배하고 우리는 아는 것을 예배하노니 이는 구원이 유대인에게서 남이라. 아버지께 참되게 예배하는 자들은 영과 진리로 예배할 때가 오나니 곧 이 때라. 아버지께서는 자기에게 이렇게 예배하는 자들을 찾으시느니라.]
어떤 종파는 반예전적(antiliturgical)이고, 어떤 종파는 경험위주의 신앙을 고수 하고 있다. 이처럼 교파마다 신학의 바탕이 각각 다르기 때문에 예배의 내용과 의미도 차이가 있음을 먼저 밝혀 둔다.
<중 략>
단순히 돈을 바치는 행위가 아니라 하나님의 말씀을 듣고 스스로 우러나는 감사의 응답으로 내어놓는 모든 마음과 정성의 표현이다. 헌금은 우리 자신과 우리가 가진 모든 것을 하나님께 바친다는 것을 상징적으로 표현하는 것이다.
구약에서는 빈손으로 성전예배에 임하지 않고 희생예물을 가지고 나갔다. 십일조 또한 이스라엘 백성들의 생활규례로 드리는 규범이었고 하나님의 명령이었다. 즉 이스라엘 백성의 의무요 책임행위였다. 신약과 초대교회에서는 말씀의 예전이 끝난 후 성찬성례전 예배가 시작될 때 주님의 희생에 함께 참여하기 위하여 떡과 포도주를 제단 위에 드리는 것을 봉헌이라고 하였다.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