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신약석의방법론 구조주의 비평에 관한 발제물입니다
목차
서론
Ⅰ. 구조주의 비평
1. 역사적 배경
2. 정의
3. 방법
4. 목적
Ⅱ. 구조주의에 따른 마가복음 4장35-41절의 비평
1. 본문해석
2. 본문에 대한 구조주의 비평
1) 그레마스의 행역자적 모델
2) 의미론적 사각형 모델
Ⅲ.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서 론
구조주의(structuralism)는 1950년대에 프랑스를 중심으로 나타난 현대 사상 조류 가운데 하나이다. 구조주의 해석은 주어진 본문이 언어구조의 상호관계 속에서 어떤 의미를 지니는가를 묻는 것이다. 구조주의의 기본 입장은 저자가 쓴 본문은 저자와는 상관없이 그 자체로 생명력을 지닌다고 보는 것이다. 본문의 의미는 저자의 의도와는 상관없이 그 속에 함축되어 있거나 본문을 읽는 과정 속에서 드러난다. 읽는 과정을 문맥이라고 볼 수 있으며 본문의 의미는 그 문맥 속에 있는 것이다. 심진용, “마가복음 3장 1-6절과 5장 1-20절의 구조주의적 해석”, 침례신학대학원(1991), p.3.
한편 구조주의 해석의 방법은 본문의 의미산출을 위한 무분별하고도 지나치게 주관적인 해석들을 지양하고, 보다 객관적인 해석을 위해 대안적인 방법으로 제시되었지만 본문의 의미를 유추해내는 과정 속에서 해석자들의 주관이나 그들이 적용하는 이론의 차이에 따라 다양한 의미가 산출될 수 있다. 이형원, 『구약성서 비평학 입문』, 침례신학대학교출판부(대전:2002), p.256.
한 마디로 학자들에 따라 실제적인 비평 방법들이 다르게 주장될 수 있다는 말이다. 따라서 본 발제에서는 성서 해석에 있어서 구조주의비평의 정의와 방법, 역사적 배경, 특징을 살펴보고, 그레마스(A.J.Greimas)의 방법론으로 마가복음 4장35-41절을 해석해 보고자 한다.
<중 략>
이 축은 발신자- 객체- 수신자로 구성되어진다. 이 축을 따라서 소통 이동 전달 실질적 또는 현실적 수용의 모든 현상이 위치해 있다. 발신자는 어떤 것을 어떤 사람에게 전달하려고 하는 인물들의 행역자적 입장이다. 이 전달은 성취되거나 좌절 될 수도 있고 좌절될 경우 이 축은 상실, 결핍, 탐색들을 표현한다. 발신자는 어떤 것을 어떤 사람에게 전달될 필요가 있는지를 결정하는 인물들의 행역자적 위치이다. 따라서 발신자는 행위의 프로그램 즉 권한 부여를 시작한다. 이 권한 부여는 발신자에 의해 주체의 위치를 맡을 어떤 인물에게 주어진다. 객체는 먼저 발신자에 의해서 “전달되는 것” 또는 수신자에게 “결핍되어 있는 것”으로 정의 된다. 객체는 의욕의 축에서 또 다른 정의를 갖게 된다.
참고 자료
네슬러 알란 27판
성종현, 『최신 성서 헬라어 사전』, (서울: 장로회신학대 출판부, 1999)
서인석,『성서와 언어학: 구조분석의 이론과 실천』, (서울: 성바오르 출판사, 1984)
서인석, 성서와 언어과학, (서울: 성바오로 출판사, 1984)
이형원,『구약성서 비평학 입문』, (대전: 침례신학대학교출판부, 2002)
장일선, 히브리說話의 文學的 理解,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1985)
장일선, 구약성서와 설교, (서울: 전망사, 1989)
Daniel Patte,『구조주의적 성서해석이란 무엇인가?』, 이승식 옮김 (서울:한국신학 연구소, 1987)
Daniel Patte and ALINE patte, Structural Exegesis: From Theory to Practice (Philadelphia: Fortress Press, 1978)
심진용, “마가복음 3장 1-6절과 5장 1-20절의 구조주의적 해석”, 침례신학대학원(19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