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반적인 정신건강,시설,현황에 관한 내용입니다.
교수님께서 많은 분량과 자세한 설명을 원하셔서 정말 힘들게 했습니다 ㅠㅠ
중간고사를 생각보다 못봤는데 과제잘했다고 칭찬받고 해서 A+ 나왔습니다.
그림도 적절히 있습니다!!!
목차
1. 지역사회정신보건시설 현황 정신건강증진센터 설치・운영
2. 알코올상담센터
3. 자살위기대응 관리
4. 정신 사회재활
5. 치매 관리
6. 정신 건강 교육
본문내용
♣ 정신건강증진센터 설치・운영
1) 사업목적:정신질환의 예방․치료, 정신질환자의 재활과 정신건강 친화적 환경 조성으로 국민의 정신건강 증진 도모
2) 정신건강증진센터 설치
가) 설치자: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시・도지사, 시・군・구청장)
나) 설치기준 및 사업내용
광역 정신건강증진센터
-시・도지사가 광역시・도의 정신보건시스템을 구축 강화하고 24시간 자살예방 및 위기관리서비스를 제공하며 정신건강증진사업 및 교육, 홍보사업 등을 제공할 목적으로 직영 혹은 위탁 운영
- 2014년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경기,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제주에 각 1개소 운영
- 자살위기관리사업 수행
・자살위기대응팀을 설치하여 365일 24시간 자살위기상담, 자살위기자 발견 및 사례관리 등
・자살위기개입을 위해 지역사회 자원간 연계・협력체계 구축 등
기초 정신건강증진센터
- 인구 20만 미만 시・군・구:1개소
- 인구 20만 이상 시・군・구
:2개소 이상 설치 가능하며, 추가 설치기준은 인구 20만명 당 1개소
(1) 운영목표 및 방침
-정신건강증진센터는 시도 및 시군구 지역주민의 정신건강증진과 자살예방, 정신장애인의 사회복귀를 위해 전문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며, 포괄적인 지역사회 서비스 네트워크 구축을 위해 노력해야 한다.
1. 알코올상담센터
알코올 사용 장애자를 위한 3차 예방사업
가) 알코올중독 전문치료기관 육성
① 알코올중독 전문치료센터 설치・운영
- 단기적으로는 국립서울병원, 국립부곡병원에 알코올중독 전문치료센터를 설치하고 장기적으로 민간 전문치료센터 설립지원 검토
- 전문치료센터는 알코올 중독에 치료, 재활 및 알코올 중독자 응급진료, 알코올중독 표준진료지침 개발 및 재활서비스 기준 등 관련 임상연구실시
② 주민 접근성 제고를 위한 광역별 전문치료기관 지정 및 지원
- 국립대학병원 등 국・공립의료기관을 광역전문치료기관으로 지정・지원하여 지역 알코올 전문치료체계 강화
- 알코올 중독 관련 임상연구, 권역내 응급치료 및 재활 훈련 등
③ 지역사회 내 전문클리닉 지정 육성
- 정신과 의원 중 알코올중독 전문클리닉을 지정하고 1차 진료, 재활 치료 및 임상연구 참여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