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근콘크리트
- 최초 등록일
- 2015.05.31
- 최종 저작일
- 2015.04
- 6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500원
목차
문제 2-1 고강도 콘크리트 (high strength concrete)와 고강도 철근의 재료특성에 대하여 기술하라.
문제 2-2 철근 표면 상태와 부착강도와의 관계에 대하여 기술하라.
문제 2-3 콘크리트의 중성화 및 중성화 속도에 대하여 기술하라.
문제 2-4 콘크리트가 고온을 받았을 때의 영향에 대하여 기술하라.
문제 2-8 압축강도가 30Mpa인 보통콘크리트의 탄성계수, 휨강도, 인장강도, 전단강도를 산정하라.
문제 2-9 철근콘크리트구조물은 철근부분과 콘크리트부분의 특성을 효과적으로 활용하고 있는데, 그 어떤 특성이 어떤 효과를 주고 있는지를 설명하라.
본문내용
1) 고강화 원리
고성능 감수제(단위수량 감소) + 실리카 퓸, 플라이애쉬, 고로슬래그(수화 생성물 증가)
= 고강도화(모세관 공극 감소)
2) 특징
장점
① 초고층 구조물 저층부에 작용하는 축력을 효과적으로 제어
② 단면축소로 사용면적의 증대
③ 단면축소에 따른 자중감소로 지진에 유리
④ 조기강도발현으로 공기단축
⑤ Creep 현상 감소
<중 략>
경화한 콘크리트는 시멘트의 수화생성물로써 수산화 석회를 함유하여 강알칼리성을 나타낸다. 수산화 석회는 시간의 경과와 함께 콘크리트 표면으로부터 공기 중의 CO2의 영향을 받아 서서히 탄산석회로 변하여 알칼리성을 상실하게 된다. 이와 같은 현상을 콘크리트 중성화라고 한다.
콘크리트의 중성화는 표면에서부터 진행되며, 단기재령에서는 중성화속도가 빠르게 나타나며, 장기 재령에서는 속도가 늦어진다. 마감재는 콘크리트의 중성화 속도를 지연할 수 있으며 페인트, 흡음재, 모르타르(두께 12mm이상)로 마감을 한 경우 기본 마감한 콘크리트보다 두 배 이상 중성화를 지연할 수 있다.
<중 략>
<그림 1>에서와 같이 레미콘의 온도가 10℃에서 20℃로 높아진다면 동일한 슬럼프를 얻기 위해선 약 10kg의 단위수량이 필요하게 된다. 이러한 추가수량은 압축강도를 저하하게 한다.
②콘크리트의 고온은 응결속도를 단축시켜 콘크리트의 운반, 타설, 마감이 가능한 시간을 감소시킨다. 콘크리트의 온도가 매 10℃ 증가할 때마다 응결시간은 2시간 이상 짧아진다.
③더운 날씨에는 경화 전후에 균열 발생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인다. 타설된 콘크리트의 물이 빠르게 증발하면서 표면이 경화되기 전에 소성수축 균열을 유발하기 때문이다.
④압축강도에도 영향을 미치는데 고온에서 콘크리트 양생을 할 경우 저온의 콘크리트 양생보다 초기강도는 높을 수 있지만 장기강도는 낮게 나타난다. 따라서 더운 날씨의 타설, 양생, 관리는 매우 중요하게 여겨진다.
참고 자료
http://www.gigumi.com/140 , http://www.gigumi.com/105
한국 도로공사 도로연구소 발표문헌, http://peplanner.net/220287190700
중성화·탄산화, 한국레미콘공업협회 기술분과 위원회, 2012.04.16
건축공학도를 위한 철큰콘크리트 구조, 부경대학교 건축학부 건축구조 연구실
콘크리트 온도상승이 품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레미콘공업협회 기술분과 위원회, 2011.07.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