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국가개입 여부별 분류
2. 목적 ․ 이념적 주체별 분류
3. 테러리즘 주체의 동기 및 행태별 분류
본문내용
테러리즘은 역사적, 사회적, 정치적 배경과 테러조직의 형태 및 그 구성원의 특성, 그리고 테러활동의 다양한 양상 등으로 인하여 이를 분류하는 방식은 매우 다양하다. 특히, 정치테러리즘은 정치적 기술과 폭력의 효율성을 극대화시키기 위하여 다양한 전략을 구사하므로 이의 분류를 위해서는 다양한 시각과 관점을 포함하는 복합적 기준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각자의 서술목적에 따라 그 분류기준이 다르나, 본 연구에서는 대체적으로 1) 국가개입 여부별 분류, 2) 목적별 ․ 이념적 주체별 분류, 3) 테러리즘 주체의 동기 및 행태별 분류로 구분하여 고찰하고자 한다.테러활동을 활동조직의 주체와 국가재입과의 관계에 기준하여 분류방식을 제시한 학자는 미콜러스(E. Micholus)이다. 그는 테러리즘을 특정 정부의 통제나 지휘 여부 및 2개국 이상의 국민 또는 영토의 직접적인 관련 여부를 기준하여 아래의 표와 같이 분류하였다.미콜러스에 의한 테러리즘의 유형분류는 현재 미국의 CIA가 공식적으로 채택하고 있는 것으로 이 기준에 따라 테러리즘의 조직구성, 공격수단, 공격목표, 요구사항 등의 항목별 자료를 제시하고 있다.첫째, 국가 간 테러리즘(interstate terrorism)은 테러행위가 어느 주권국가의 정부당국에 의해 통제받는 개인이나 집단에 의해 자행되며, 그 표적이 타국의 국민이나 영토와 관련되어 있고 테러활동무대도 타국을 포함하는 경우이다. 유럽과 중동 내의 팔레스타인그룹들에 대한 이스라엘 테러러스트들의 공격행위와 북한의 해외 테러행위는 이 유형에 속한다.둘째, 국내 테러리즘(domestic terrorism)은 한 국가의 국민과 영토에만 국한되는 테러리즘으로서 기존정부나 국민에 대해 자행되는 테러리즘이다. 북아일랜드의 '울스터방위연맹'(UDA) 및 미국의 '웨더지하단(Weather Underground) 등에 의한 테러리즘이 여기에 속한다.셋째, 국가 테러다詠state terrorism)은 자국 내에서 정부에 의해 반정부세력이나 국가에 대해 자행되는 테러로서 소위 '관제테러'가 여기에 속한다.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