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심폐소생술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CPR)
2. 복부 초음파 검사
3. 심전도 검사 (electrocardiography; ECG)
4. 컴퓨터 단층촬영 (computed tomography, CT)
5. 기관 내 삽관 (Intubation)
6. 산소요법 Oxygen Therapy
7. 복수 천자
8. 호흡기 치료(Nebulizer)
9. 골격견인(skeletal traction)
본문내용
관찰내용
갑자기 119 구급차가 오더니 선생님이 mental change라며 집중치료실로 모시고 갔다. 대상자 전○○에게 우선 라인을 확보하고 foley를 하였다. 그리고 간호사 선생님께서 CPR을 준비하라고 하였다. 기계가 준비 될 때까지 의사 선생님은 흉부압박을 하셨고, 기계가 준비되어 기계로 흉부압박과 인공호흡을 시행하였다. CPR기계는 처음 보았는데, 하얀 천으로 감싼 판이 규칙적으로 흉부를 압박하였다. 다른 일을 하고 다시 집중치료실에 들어가보니 대상자는 ventilator를 달고 계셨다. 그러나 몇 분 후 안타깝게도 대상자는 사망하였다.
<중 략>
여러 초음파 음속들을 발사한 다음, 인체 장기의 각 매질이 다른 경계면에서 반사되어 돌아오는 초음파 음속들의 강도와 시간에 따라 서로 다른 점(dot)들로 배열하여 실시간으로 영상을 얻는 기법을 말한다.
1. 시행방법
상복부 초음파검사는 환자가 천정을 보고 똑바로 누워있는 상태에서 시작한다.
➀탐촉자와 신체에 초음파 젤리를 바른 후에 검사를 시작한다. (이 젤리는 탐촉자와 피부 사이의 공기를 제거하여 탐촉자와 피부가 밀착되게 하고 잘 미끄러지게 한다.)
➁탐촉자를 눌러서 피부와 완전히 밀착시킨 검사 부위를 문지르면서 검사를 시행하게 된다. (상복부 장기들이 잘 보이게 하기 위해 검사자들이 숨을 들여마시거나 배를 불리도록 요구하게 되는데, 이렇게 하면 횡격막이 아래로 내려오기 때문에 횡격막 아래에 있는 간이 늑골 아래로 내려 와서 간이 잘 보이기 때문이다.)
*소요 시간은 숙달된 영상의학과 의사가 시행하고, 큰 이상 소견이 없는 상복부 초음파검사는 10~15분 이내에 검사를 끝날 수 있지만 복잡한 상복부 초음파 검사나 충수돌기 초음파검사의 경우에는 소요 시간이 훨씬 길어지기도 한다.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