듣기 자료를 제작할 때 중점을 두어야 할 점과 유의할 점
- 최초 등록일
- 2015.04.20
- 최종 저작일
- 2015.01
- 18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500원
목차
I. 서론
1. 듣기 교육의 중요성
2. 듣기의 정의
3. 듣기의 기능
II. 본론
4. 듣기의 특성
5. 구어의 특성
6. 의사소통 능력을 위해 직접적으로 교려할 교육내용
7. 듣기 기술 개발 원리
8. 단계별 듣기 교육의 목표
9. 한국어 듣기 활동의 유형
10. 듣기 자료 개발
11. 듣기 수업 활동
12. 듣기 수업 구성
13. 교사 전략
III. 결론
14. 결론
IV. 참고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 듣기 교육의 중요성
외국어 교육의 전통적 방법론에서 듣기는 말하기의 보조적인 수단으로 독자적인 교육 방법이나 자료가 개발되지 못했다 초기의 문법 번역식 교수법은 문어 중심의 교육으로 듣기 교육은 중요한 교육 대상이 아니었다. 직접 교수법, 청각구두식 교수법에서 듣기는 읽기, 쓰기에 비해 중요시되었으나, 이해로서의 듣기 활동이 아니라 모방과 반복을 통하여 습득되는 말하기의 보조 수단으로 강조 되었다 전신반응 교수법에 와서야 청취 이해가 발화에 선행할 때 효과적이라는 입장에서 청취 이해를 강조하는 이해 접근법을 시도하게 되었다. 이것은 1970년대의 의사소통 중심의 교수법으로 어어져서 능동인 이해 영역으로서 듣기를 인정하게 되었다.
1) 실생활에서 듣기가 차지하는 비중이 45% (Rankin)
2) 말하기는 이해 기능인 듣기 기능을 기반으로 함으로 청취가 가능해야 발화가능
3) 자율적인 반복 학습을 할 수 없으므로 적절한 자료를 사용하여 능력 신장
4) 듣기 기능은 전이 효과가 크다 언어 습득 과정에서 음성은 문자 언어를 선행
① 인지적 장점
무리하게 말을 유도할 경우
⤷ 언어 간섭이 발생
⤷ 단기 기억 장치에 보관된 정보에 의존
⤷ 표층 구조에만 의존
② 정의적 장점
준비가 안된 상태에서 말을 유도할 경우 불안감, 정신적 고충을 격음
③ 실용적 장점
듣기 교육을 실시할 경우
⤷ 적극적으로 수업에 참여
⤷ 교실 밖에서도 개인적 학습 가능
2. 듣기의 정의
- 듣기란 ‘소리에 주의를 기울여 그 소리를 인식하고 해석하여 기억하고 응답하는 과정’
- Glenn의 선행연구 정리
① 해석 (72%)
② 인식 (64%)
③ 주의 집중 (44%)
④ 응답 (32%)
⑤ 기억 (26%)
⤷ 듣기의 본질을 구성하는 요인
3. 듣기의 기능
Brown의 듣기의 하위 기능
1) 음성·음운 법칙
* 자음과 모음의 식별
* 음운이나 단일어 수준에서 듣기 지도
참고 자료
이해영(1999a), 한국어 듣기 교육의 원리와 수업 구성, <한국어교육>
이해영(2001b), 한국어 교재의 언어 활동 영역 분석, <한국어교육>
오미라․이해영․안성희․김은애(2005예정), <한국어듣기2(중급)>.
박영목/한철우/윤희원 공저, 국어과 교수 학습론, (주)교학사, 2002.
이해영, 학습자 중심 수업을 위한 교재 분석, <이화여자대학교>
김정숙,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수업을 위한 교재· 교구의 구성, <고려대 민족 문화 연구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