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통큰쿠폰이벤트-통합

高麗時代의 對外關係

*효*
최초 등록일
2015.04.17
최종 저작일
2014.09
7페이지/ 한컴오피스
가격 2,0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 EasyAI 홍보배너

목차

1. 머리말

2. 高麗와 契丹[遼]
1) 국교 수립 이전 거란[遼] 인식
2) 국교 수립 이후 거란[遼] 인식

3. 高麗와 女眞[金]
1) 국교 수립 이전 여진[金] 인식
2) 국교 수립 이후 여진[金] 인식

4. 高麗와 몽고

5. 맺음말

6. 참고문헌

본문내용

고려인들은 ‘中國’을 天子國, 책봉국으로 인정하고 스스로를 제후국으로서 위치를 짓는 외교 관계를 수용하였다. 이러한 국제관계는 일차적으로는 정치적, 군사적 힘의 우열에서 성립하는 것이지만, ‘中國’의 문화를 우월한 것으로 인정하는 과정이 동시에 수반된다. 따라서 국가, 국왕[혹은 황제] 수준에서 조공과 책봉이라는 외교의례가 이루어질 때 문화적 교류가 수반되었다.
고려가 건국한 10세기 초 이래 중국 대륙의 북쪽에는 거란족의 遼가 존재했다. 1120년대 들어 중국에서 契丹이 몰락하고 여진족이 세운 金이 새로운 강대국으로 등장한 후에는 金과의 국교를 유지했다. 즉 고려는 건국 이래 金이 몰락하는 1220년대까지의 280여 년간에 한족왕조와 60년간, 거란족, 여진족에 의한 북방족 왕조인 遼와 金과 200여 년간 국교를 유지했다.

<중 략>

고려가 金과 관계를 맺는 것은 1115년 金 건국 이후부터이다. 1117년 3월 金은 황제 자격으로 사신을 고려에 파견하여 관계를 兄弟관계로 맺을 것을 제안하였다. 그러나 10년이 채 지나지 않은 1126년에 이르면 金은 형제관계를 부정하고 스스로 고려에 대한 천자국으로 자임하면서 고려에게 제후국으로서 表文을 보낼 것을 요구하였다. 金과 고려의 관계를 君臣관계로 설정하겠다는 것이었으니, 이는 종전의 고려-여진족 관계를 역전시키는 것이었다.
1125년 거란[遼]이 멸망하자 고려는 金과의 국교를 어느 수준에서 설정할 것인지 고민해야만 했을 것이다. 金의 요구에 따라 金을 책봉국으로 받아들이고 고려의 위상을 제후국, 조공국으로 인정하는 조공ㆍ책봉관계를 맺은 것은 1126년 4월이다. 그러나 고려가 金을 책봉국으로 받아들이기에는 복잡한 갈등이 없을 수 없었을 것이다. 고려는 거란[遼]과 金이 교체된 직후인 1126년에 金=女眞으로 표현하였다.

참고 자료

김순자, 고려전기의 거란[요(遼)], 여진[금(金)]에 대한 인식, 한국중세사학회, 한국중세사연구, 제26호, 2009
이미지, 한국사에서의 변경, 변경으로서의 한국 ; 1231,1232년 대몽(對蒙) 표문(表文)을 통해 본 고려의 몽고에 대한 외교적 대응, 고려사학회, 한국사학보 제36호, 2009
강은정, 12세기초 고려의 여진정벌(女眞征伐)과 대외관계의 변화, 북악사학회, 북악사론 제9호, 2002
*효*
판매자 유형Bronze개인

주의사항

저작권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찾던 자료가 아닌가요?아래 자료들 중 찾던 자료가 있는지 확인해보세요

  • [역사교육]표류민 6페이지
    에서는 朝鮮이 高麗이후 新興國家로써 國家體制를 정비하면서 새롭게 對外關係 또한 ... 새로운 對外關係를 모색하던 시기이다. 1392년, 새 王祖를 건국 ... , 『朝鮮時代 韓日關係史硏究』, 지성의 샘, 1994그 이유는 14 ~ 15
  • 조선의대명조공정책 8페이지
    朝貢制度는 中國의 對外關係 형식으로써 정의되어 왔는데 이 제도를 中國 ... 制度의 정의는 中國의 對外關係의 형식에서 본 시각으로, 이것으로는 明 ... 다. 그러나 반대의 시각으로 바라본다면 朝貢關係는 朝鮮의 對外關係의 형식
  • [남북국시대론]남북국시대론의 비판적 검토 4페이지
    論集 對外關係と政治文化』1, 吉川弘文館, 1974년) ; 酒寄雅志, 「入 ... 다.{ 李佑成 , 1983「南北國時代와 崔致遠」p.228~9 에서는 내외문헌 ... 상 한계가 있음을 지적하고 있다.{ 古畑徹, 「渤海建國關係記事の再檢討
  • 고대 한일외교사에 대한 고찰 21페이지
    外交는 필수불가결한 對外政策이다. 自國의 문화적 後進性을 극복하기 위해 ... , 『日本書紀朝鮮關係記事考證』上卷 (吉川弘文館, 1962, p.85).廣開土 ... 던 高句麗는 가장 민감한 반응을 보였다. 『隋書』高麗傳에 「開皇(581∼600
  • [역사학과] 조선시대 국방정책과 어문정책이 국민 복지에 미친영향 7페이지
    ※ 조선시대(朝鮮時代) 어문정책(語文政策)1 애민(愛民)(휼민(恤民 ... 적(時代的) 배경(背景)1) 시대적(時代的) 상황(狀況)·정치적(政治的) ... (實權)을 장악(掌握)한 이성계(李成桂)가 고려(高麗)왕조(王朝
더보기
최근 본 자료더보기
  • 뮤지컬 마타하리
  • 영화 <괜찮아? 괜찮아, 괜찮아.> 시사회 초대 이벤트
유니스터디 이벤트
高麗時代의 對外關係
  • 뮤지컬 마타하리
AI 챗봇
2025년 02월 06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53 오전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