응급실 중독 : 약물중독 문헌고찰
- 최초 등록일
- 2015.04.10
- 최종 저작일
- 2015.04
- 5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목차
1. 중독의 정의
2. 중독의 종류 & 응급처치
1) 독물 섭취 (Ingested poisons)
2) 흡입성 중독 (Inhaled poisons)
3) 피부접촉 중독 (Skin contamination poisoning : Chemical burns)
4) 식중독 (Food intoxication)
5) 뱀에 의한 중독
본문내용
√ 중독의 정의
약물 중독은 고의 혹은 실수로 치료적 약물을 섭취하거나 흡입, 흡수, 피부에 도포될 때 신체에서 화학작용을 일으켜 신체적 손상을 초래하는 것이다.
√ 중독의 종류 & 응급처치
1) 독물 섭취 (Ingested poisons)
: 독성물질을 흡입하거나 섭취하면 중요한 기관이 손상을 입는다. 부식성 중독에는 알칼리와 산성제제가 있다. 이 제제들이 점막에 닿으면 조직을 파괴시킬 수 있다.
(1) 독물의 종류
- 알칼리성 물질 : 잿물, 하수구 세척제, 표백제 등
- 산성 물질 : 변기 세척제, 수영장 소독제, 녹 제거제 등
- 약물 : 진통제, 수면제, 인슐린, 혈당 강하제, 콜린성 제제 등
<중략>
[ 위 세척 Gastric Lavage ]
위세척술은 위의 내용물을 입 밖으로 씻어내기 위해 쓰는 방법이다. 우선 입과 식도를 통해 위까지 가는 관을 삽입하는데, 만일 환자의 의식이 저하되어 있거나 구토 반사가 사라져 있다면 기도를 확보하기 위해 기관 안에 관을 삽입해야 한다. 환자를 왼쪽으로 눕힌 뒤에 길이 70~80cm, 안지름 약 8mm의 고무제 위관을 식도를 통해 위에 도달할 때까지 밀어 넣는다. 그 뒤 공기를 주입해 튜브가 위 안에 위치를 잘 잡았는지 확인한다. 관을 통해 따뜻한 물이나 생리식염수를 주입할 때는 관을 들어 액체가 환자의 위 속으로 들어가게 한다. 성인인 경우에는 한 번에 200~250 mL, 5세 미만의 소아에게는 50~100 mL가 적당하다. 관을 위의 높이 아래로 내리면 위의 내용물이 위에서 역류해 나오는데, 이 액을 수용기로 받아낸다. 위에서 나온 배출액이 투명해질 때까지 액체를 넣고, 받아내는 과정을 반복한다.
위세척술을 할 때 액체가 폐로 흡인되거나 식도천공, 긴장성 기흉, 비출혈 등의 합병증이 생길 수 있다. 또 위세척술에는 적응증이 있는데 안전하게 구토를 할 수 없는 환자, 고독성물질을 다량으로 삼킨 환자 등에서 실시한다. 하지만 부식성 약물을 삼켰을 때, 식도정맥류와 식도협착, 위절제술을 한 과거력이 있는 경우, 심장판막증·동맥경화증·위궤양의 활동기와 발열·임신 등의 경우에는 위세척술을 해서는 안 된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