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 조사 과제
- 최초 등록일
- 2015.04.09
- 최종 저작일
- 2015.03
- 3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목차
Ⅰ. 개관
Ⅱ. 정책과 성과
Ⅲ. 기관이 없어졌을 때의 영향과 방안
본문내용
Ⅰ. 개관
1. 역사
급격한 경제성장으로 인해 환경문제가 심화되자 1967년 보건사회부 환경위생과에 공해계가 설치되었다. 이후 1980년 환경청, 1990년 환경처로 격상되었다. 그러다가 1991년, 1994년 두 차례의 낙동강 수질오염사고로 인해 보다 강력한 국가 환경정책의 수립과 집행이 요구되었다. 이에 따라 1994년 12월에 환경부로 개편되어 국가의 환경정책을 체계적으로 시행하기 위한 행정체계를 갖추게 되었으며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다.
2. 목적 및 임무
각종 환경오염으로부터 우리 국토를 보전하여 국민들이 보다 쾌적한 자연, 맑은 물, 깨끗한 공기 속에서 생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국민 삶의 질을 향상하고, 나아가 지구환경보전에 기여하여 하나뿐인 지구를 보전하는 것을 임무로 하고 있다.
3. 구성
환경부는 2실 3국 7관 32과 4팀 1기획단으로 이루어져 있다. 주요 업무계획, 예산편성, 조직관리, 고객지원센터, 법령 제·개정 등을 하는 기획조정실, 환경보전을 위한 종합계획을 세우고 환경기술개발 및 환경산업을 육성·지원하는 환경정책실......<중 략>
참고 자료
국립환경과학원, 환경 30년사, (국립환경과학원, 2008), p.28
환경부, http://www.me.go.kr/kor/intro/intro_02_01.jsp
환경부 보도자료, 서울·인천·경기, 수도권 대기환경개선 본격 추진, p.1
수도권 대기환경청 블로그, http://blog.daum.net/fresh-air/786
녹색성장위원회, 음식물 쓰레기 줄이기 종합대책, p.7
머니투데이 최원석 기자, 환경부, '음식물쓰레기 줄이기 방안' 발표, http://www.mdtoday.co.kr/mdtoday/index.html?no=143556
환경부, 이명박 정부 3년 환경정책 성과와 과제, p.1
경부 보도자료, 사전입지상담제 성과발표회, p.1, p.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