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립선암의 95%는 선암(adenocarcinoma)이다. 선암은 전립샘의 상피세포에서 발생하며, 흔히 후엽이나 전립선의 가장자리에서 발생한다. 전립선암의 성장형태에 따라 두 가지로 나누는데, 잠복적으로 서서히 성장하는 것과 공격적이고 빨리 성장하는 형태가 있다.
전립선암은 매우 서서히 진행되는 암 중 하나이며, 예측된 양상으로 전이된다. 주로 전이되는 부위는 전립선 주위의 림프절, 골수, 골반뼈, 천골과 척추 등이다. 후반에는 폐, 간, 부신과 신장 같은 내장으로 전이된다.
<전립선암의 분류방법>
제1기(stage A)
T₁, N₀, M₀: 현미경으로 확인 가능한 종양(tumor microscopic)
A₁: 현미경적 소견 있음(microscopic focus)
A₂: 미만형(diffuse)
제2기(stage B)
T₁₋₂, N₀, M₀: 육안으로 확인 가능한 종양(tumor macroscopic)
B₁: 한쪽 엽 침범, 종양크기≤1.5cm
B₂: 양쪽 엽 침범, 종양크기≥1.5cm
제3기(stage C)
T₃, N₀, M₀: 피막 외 종양(tumor extra capsular)
C₁: 국소화됨(localized), 종양크기≤70g
C₂: 골반 측벽에 고정(pelvic sidewall fixation), 종양크기≥70g
제4기(stage D)
T₄, N₁₋₂, M₁ :전이된 종양(metastatic disease)
D₁: 골반 내 국한(confined to pelvis)
D₂: 골반 외까지 침범(extrapelvis)
** T: Tumor N: Node M: Metastasis
나. 원인
원인은 불분명 하지만 전립샘 암의 약 10~15%는 변이된 유방암 유전자(mustated breast cacer genes, BRCA2)로부터 야기되었다. BRCA2 돌연변이는 전립선암 조기 발생의 위험을 증가시킨다. 기타 위험 요인은 65세 이상의 남성, 종족, 가족력, 고지방 식이, 비만, 흡연 등이다.
참고자료
· 성인간호학 제 6판 상,하 - 현문사, 2013, 조경숙 외
· 간호과정 제 3판 - 현문사, 2013, 최순희 외
· 건강사정 제 4판 - 현문사, 2010, 이강이 외
· 약리학 개론 - 현문사, 2011, Mary Kaye Asperheim 외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