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붕당정치의 특성과 해결책 A+ 자료
- 최초 등록일
- 2015.02.12
- 최종 저작일
- 2014.08
- 13페이지/ MS 워드
- 가격 2,000원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한국 정당체제
2. 정당의 조직구조
3. 한국정당의 특성
4. 외국의 1당 체제와 한국의 4당 체제 비교
Ⅲ. 결론
1. 한국 정당체제의 문제점과 해결 방안
2. 한국정당의 주요쟁점과 개선방향
Ⅳ. Q&A 와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서론
현재 한국의 정치는 총 4당 체제로 나누어진 분당정치체제를 이루고 있다. 이는 조선시대의 16세기 중반 이후부터 이루어진 붕당정치부터 내려져오고 있는데 현재의 4당 체제가 비슷한 모습을 보여 주고 있다. 본고는 지금부터 한반도에서 진행되었던 정당정치 제도의 성격과 변화과정 및 장단점을 통해 한국의 분당정치가 보여주는 특성에 대해 조사한 후 외국의 정치제도와 한국의 분당제도의 비교 그리고 한국 분당정치가 가지고 있는 문제점과 그에 대한 해결방안을 살펴보도록 하자.
Ⅱ. 본론
1. 한국 정당체제
1.1 한국 정치 정당
우리나라 정당은 대체로 조직화된 정권에 의해 하향적으로 여당이 만들어지고, 여기에 참여하지 못하거나 거부한 정치세력이 야당을 결성해왔다. 그리고 권위주의 체제하에서 여당은 항상 정치적 정통성의 불완전함에 시달려야 했고 야당은 집권가능성이 거의 없이 ‘영원한 야당’의 운명을 감수해야 했다. 따라서 여•야는 ‘민주 대 반민주’의 기본구도 속에서 체제문제를 둘러싸고 극한적인 대립으로 치닫거나, 여당의 정치압력에 야당이 굴복해 버리는 정치행태가 두드러진다.
1.2 한국정당의 분석
한국은 정치적, 사회경제적 맥락의 변화에 따라, 그리고 정치적 세력 간의 동태적 관계의 변화에 따라 복합적인 모습을 보임
1) 1당 우위 체계적 성격
98년 국민의 정부가 들어서기까지 평화적 정권교체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여당 1당 독재 성격이 강했다. 6월 항쟁 이전까지는 우리나라 정치 체제는 집권적인 권위주의 체제였고, 집권당은 정권연장을 위해 민주적 경기규칙을 위반하여 야당을 탄압하고 반민주적 선거를 일삼았다. 그러나 87년 민주항쟁 이후에 야당의 세력이 점차 커지게 된다. 엄격한 의미의 1당 우위 체제는 아무런 ‘반칙요인’없이 자유로운 정치 경쟁 속에서 1당이 자연스럽게 장기간 국민의 정치적 지지를 얻어 장기 집권을 하는 경우를 뜻함.
참고 자료
구해우, 『김정은 체제와 북한의 개혁개방』, 나남, 2012
고경민, 『현대 정치과정의 동학』, 정당정치론, 2007
윤건영, 『한국정치 이대로는 안 된다 』, 역사비평사, 2007
김용호, 『정당정치의 이해』, 나남출판, 2001
서주실, 『선거제도와 정당제』, 삼지원, 1997
김호진, 『한국정치체제론』, 서울: 박영사, 1994
심지연, 『한국정당정치사: 위기와 통합의 정치』 (백산서당, 2004).
최장집, 『한국현대정치의 구조와 변화』 (까치, 1989)
김용복, 『한국 민주주의의 발전과 정당정치 : 최장집교수의 정당 민
주주의론에 대한 비판적 고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