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Healthcare의 개념 이해 및 제품&사례 분석
- 최초 등록일
- 2015.02.09
- 최종 저작일
- 2015.01
- 36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목차
Ⅰ.서론
Ⅱ. u-Healthcare의 개념
1. u-Healthcare의 배경
2. u-Healthcare의 특징
3. u-Healthcare의 기술 동향
Ⅲ. 국내 현황조사 및 분석
1. u-Healthcare분야 시장 동향
2. 생체신호 측정 분야 응용제품 사례 분석
Ⅳ. 국외 현황조사 및 분석
1. u-Healthcare분야 시장 동향
2. 생체신호 측정 분야 응용제품 사례 분석
Ⅴ. u-Healthcare 서비스 유형 및 사례
1. u-Healthcare 서비스 유형
2. u-Healthcare 서비스 사례
3. 정부 정책의 변화
Ⅵ.결론
본문내용
1) 고령화와 이에 따른 u-Healthcare의 필요성 대두
현재 우리나라 국민의 평균 기대수명은 남자가 74.4세, 여자가 81.8세로, 그 상승속도는 전 세계에서 가장 빠르다. 이런 추세라면 2019년에는 65세 인구가 전체 인구의 14%, 2050년에는 50% 이상을 차지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렇듯 뚜렷한 고령화 현상은 u-Healthcare에 대한 필요성을 부각시키고 있다. 이는 두 가지 측면에서 분석할 수 있다.
첫째, 국가의 의료비 부담이 점점 가중되고 있다. 전체 국민에 대한 의료비 부담은 점점 늘고 있어, 2005년 GDP 대비 7.1%(33조 원)이었던 의료비는 2030년 16.8%(373조 원), 2050년 26.5%까지 증가할 전망이다. 현재 65세 이상 노인 환자에 대한 의료비는 국민건강보험 지출의 26.8%를 차지하고 있는 상황이고, 고령화가 진행될수록 이 비중은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즉, 노인층에 대한 의료비 부담이 국가 경제의 큰 변수로 등장할 전망이다.
둘째, 늘어나는 의료수요를 충족할 만큼의 의료인이 확보되지 않았다. 현재 인구 1,000명당 의료인 수는 1.5명으로 OECD 국가 평균인 2.9명에 크게 못 미친다. 2002년 국내병원의 유형별 인력지표를 살펴보면 학교법인병원의 100병상 당 의료 인력은 150.8명인데 반해 개인병원은 95.7명으로 1병상 당 1명에도 미치지 못한다. 이러한 부족한 인력은 의료서비스의 질적 저하를 불러일으키는 주원인이 된다.
주요 국가별 인구 1,000명당 활동 의사 수(명)
이러한 상황에서 보건의료 정보를 통합하고 처방, 의무기록 등을 전산화해 진료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은 인력의 효율적 운영을 위해 필수적이다. 앞으로 의료 수요는 고령화와 함께 급속도로 증가할 것이 분명하기 때문에 대면진료에 대한 수요를 인터넷, 무선통신, 디지털 컨버전스 등 정보통신기술을 이용한 대안적인 건강관리 서비스로 돌릴 필요가 있다. 이는 부족한 인력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게 할 뿐만 아니라 의료정보 경영을 더욱 현대화시키는 방안이 될 것이다.
셋째, 핵가족화의 진행 등 사회 환경과 인식의 변화는 가족 구성에서 변화를 가져왔다.
참고 자료
한국보건산업진흥원, “u-Healthcare 활성화 중장기 종합계획 수립”,
보건복지가족부, 200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국민건강영향조사 제 3기 성인이환』
Nakagawa Satoshi, 유성자 역, 『유니버설디자인』, 디자인로커스,
2003
김미애, “노년층 소비자 식별에 관한 문헌분석”, 고신대학교, 1998
김옥남, 「u-Healthcare가 다가온다」, 『LG Business Insight』
(2009. 8), LGERI
김재윤, “유비쿼터스 컴퓨팅: 비즈니스 모델과 전망”, 삼성경제연구소, 2003
김진태, 「네트워크 기반의 u-Health 서비스 추진 동향」, 『주간기술동향』Vol.1321(2007.11), ETRI 디지털홈연구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