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노조절장애의 원인과 치료
- 최초 등록일
- 2015.02.04
- 최종 저작일
- 2015.02
- 7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소개글
최근들어 한국에서는 분노를 참지 못하는 사람들로 인해 다양한 사건사고가 일어나고 있습니다. 이러한 현상에 궁금증을 느껴 한국인이 분노를 조절하지 못하는 이유와 분노조절장애의 원인, 치료법에 대해 조사해보았습니다.
목차
1. 개요
2. 분노조절장애의 증상과 진단
1) 분노조절장애의 증상
2) 분노조절장애의 진단
3. 분노조절장애의 원인
1) 신경 생물학
2) 후천적, 환경적 요인
3) 가족사와 유전적 요인
4. 한국인의 분노조절장애
1) 분노를 참지 못해 일어나는 한국의 사건사고
2) 한국에서 분노조절장애가 늘어나는 이유
5. 분노조절장애의 치료
6. 일상생활 속의 분노 조절법
본문내용
분노는 인간이 느낄 수 있는 자연스러운 감정이지만 합당한 이유도 없이 불시에 반복적으로 분노가 자주 폭발하는 것은 병적인 증상이다. 분노를 느끼면 사람에 따라 그것을 숨기거나 드러내는데 분노를 지나치게 숨기면 한국 특유의 고질병인 홧병(火病)으로 볼 수 있고, 지나치게 드러내면 분노조절장애로 볼 수 있다. 분노조절장애는 충돌조절장애 중 간헐성 폭발장애에 해당한다. 분노조절장애는 크게 두 가지로 나뉘는데 충동적 분노를 주체하지 못하는 경우, 분노를 폭발시키는 것이 효과적이라고 생각해 습관적으로 분노를 표출하는 경우이다. 양쪽 모두 분노를 조절하지 못하는 것은 마찬가지다. 이렇게 분노를 조절하지 못하는 것은 자신에게 큰 손해를 입히므로 조치가 필요하다. 화가 많은 사람일수록 심혈관계 질환이 많이 발생하며 기억력과 판단력과 같은 뇌의 기능이 많이 떨어지기 때문이다.
최근 우리사회 곳곳에서도 화를 참지 못해 폭력적인 언행과 돌이킬 수 없는 범죄를 저지르는 분노조절장애 환자들이 늘어나고 있다. 고급 승용차 운전자, 공공기관 대표, 재벌 3세처럼 분노가 없을 것 같은 사람들도 과격한 폭행, 폭언으로 인해 구설수에 오르거나 많은 비난을 받고 있다. 또 평범한 사람들이 분노를 참지 못해 살인이나 방화를 일으킨다. 이렇게 분노와 관련된 범죄로 국내 경제적 손실은 매년마다 9000억 원에 달한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 제시한 자료에 따르면 2009년 3720명이었던 충돌조절장애 환자 수는 해마다 꾸준히 늘고 있다. 2010년에는 4375명, 2011년에는 4470명이었고 2012년에는 4937명, 2013년에는 4934명으로 5년 새 1214명 32.6%나 증가했다. 성별 연령별 환자 수는 2013년 기준 10대 남성이 1106명으로 가장 크게 비중을 차지했고 20대 남성이 986명, 30대 남성이 745명, 40대 남성이 454명, 10대 여성이 366명 순으로 많았다. 분노조절과 관련된 상담건수도 해마다 꾸준히 늘어나고 있다.
참고 자료
한국경제(www.hankyung.com)
찰나의 분노가 재앙으로 / 주간동아 / 2015.1.15
충동조절장애 급증, 원인은 과도한 자기애·개인주의…10대男 최다 / 뉴시스 / 2015.1.15
'묻지마 살인' 원인 분노조절 장애 / 무등일보 / 2015.10.2
순간의 화 참지못하는 ‘분노조절’장애 / 충청투데이 / 2015.1.15
화를 참지 못하는 사람…분노조절장애는 어떤 병? / 글로벌이코노믹 / 2015.12.26
방송[TV 전상서]분노조절장애 급증, 막나가는 드라마 탓은 아닐까요? / 경향신문 / 2015.1.14
잇따른 '분노 범죄' 무엇이 문제인가? / YTN / 2015.1.25
내 안의 ‘화’가 범죄를 낳는다 / 뉴스천지 / 2015.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