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민지 근대화론에 대한 비판적 평가 - 내재적 발전론을 주장하며
*난
다운로드
장바구니
소개글
한국의 근대 역사를 돌이켜보면 매우 다채롭고 역동적이었다. 이 시기의 한국사회는 외세의 침략과 일제에 의한 식민 지배, 남북 분단과 전쟁, 독재 등 암울하고 참담한 역사를 체험했다. 그러나 다른 한편으로, 한국사회는 ‘근대화’를 실현하고자 노력해왔고 마침내 산업화와 민주화를 동시에 성취했다. 지난 세기 초만 하더라도 ‘조용한 아침의 나라’로 세계사의 변방에 있었던 한국은 ‘한강의 기적’이라 불리며 세계인의 이목을 끌었고 찬사를 받았다.이런 한국 근대 역사 속에는 한국사회의 정치적·이념적 갈등, 남북 대립, 그리고 국가 간 역사분쟁이라는 현실적 문제가 포함되어 있어 이를 객관적으로 바라보는 것은 쉽지 않다. 또한, 지배층이 자신의 현재 입지를 강화하고 미래의 패권을 쥐기 위한 수단으로 과거를 통제하려 들기 때문에 객관적으로 판단하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다.
하지만 근대 한국에서 이러한 변화가 어떻게 발생했는가, 변화의 원인은 무엇인가 등의 질문에 대한 탐색은 필요하다. …
목차
1. 서론2. 내재적 발전론의 시각에서 바라 본 식민지 근대화론
2.1. 내재적 발전론과 식민지 근대화론의 내용 및 근거
(1) 내재적 발전론
(2) 식민지 근대화론
2.2. ‘내재적 발전론’의 입장에서 식민지 근대화론 반박
3. 결론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한국의 근대 역사를 돌이켜보면 매우 다채롭고 역동적이었다. 이 시기의 한국사회는 외세의 침략과 일제에 의한 식민 지배, 남북 분단과 전쟁, 독재 등 암울하고 참담한 역사를 체험했다. 그러나 다른 한편으로, 한국사회는 ‘근대화’를 실현하고자 노력해왔고 마침내 산업화와 민주화를 동시에 성취했다. 지난 세기 초만 하더라도 ‘조용한 아침의 나라’로 세계사의 변방에 있었던 한국은 ‘한강의 기적’이라 불리며 세계인의 이목을 끌었고 찬사를 받았다.
이런 한국 근대 역사 속에는 한국사회의 정치적·이념적 갈등, 남북 대립, 그리고 국가 간 역사분쟁이라는 현실적 문제가 포함되어 있어 이를 객관적으로 바라보는 것은 쉽지 않다. 또한, 지배층이 자신의 현재 입지를 강화하고 미래의 패권을 쥐기 위한 수단으로 과거를 통제하려 들기 때문에 객관적으로 판단하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다.
하지만 근대 한국에서 이러한 변화가 어떻게 발생했는가, 변화의 원인은 무엇인가 등의 질문에 대한 탐색은 필요하다. 왜냐하면 우리는 국가와 인종을 뛰어 넘어 인류의 보편적 가치가 추구되는 21세기 시대에 살고 있기 때문이며 새로운 시대를 맞이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평등과 자유와 신뢰를 기반으로 한 세계 평화 시대의 미래를 준비하는 이 시기의 역사 서술과 역사 교육은 중요한 가치를 지니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앞선 질문들의 중심에 있는 식민지기의 역사 연구가 필요하며 1990년대 후반에 본격적으로 논의가 시작된 식민지 근대화 논쟁에 대해 알아볼 필요가 있다.
식민지 근대화 논쟁의 대표적인 대립은 ‘내재적 발전론’과 ‘식민지 근대화론’의 대립이다. 필자는 두 가지 학설 중 민족을 중심으로 여기는 내재적 발전론이 한국사회를 이해하고 오늘날 한국사회의 발전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왜냐하면 일제강점기 이전에도 한국은 경제적, 사회적 측면으로 성장하고 있었음을 뒷받침하는 근거가 있으며 그것이 역사적 사실에 부합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우선 양 이론의 내용과 근거를 서술한다. 이후 내재적 발전론의 입장에서 식민지 근대화론의 주장을 반박한다. 마지막으로 결론부에서는 필자의 입장을 정리하고자 한다.
참고 자료
김낙년(2005), 《한국의 경제성장, 1910-1945》, 서울대학교 출판부.박찬승(2007), <한국학 연구 패러다임을 둘러싼 논의-내재적 발전론을 중심으로->,《한국학 논집》 vol 35.
손인수(1992), ≪한국근대교육사≫, 연세대학교 출판부.
송영심·오정현(2005), 《한국인이라면 꼭 알아야 할 일본의 역사왜곡 21가지》, 미르북스.
신용하(1998), 《일제 식민지 근대화론 비판》, 문학과지성사.
신용하 외(2009), 《식민지 근대화론에 대한 비판적 성찰》, 나남.
신용하(1982), 《조선토지조사사업연구》, 지식산업사.
심민화(2001), 《대한민국 임시정부 이전지 현황》, 범우사.
안병직 편(2001),《한국경제성장사 : 예비적 고찰》, 서울대학교 출판부.
역사교육연대회의(2009), 《뉴라이트 위험한 교과서, 바로 읽기》, 서해문집.
이영훈(1996), <한국사에 있어서 근대로의 이행과 특질>, 《경제사학》, vol 21.
전국경제조사기관연합회 편(1940), “大陸ル-ト大陸兵站基地朝鮮と國土計劃”, 《조선경제연보》
전국경제조사기관연합회 편(1940), “朝鮮の工業分布と立地的硏究”, 《조선경제연보》
정연태(2011), 《한국근대와 식민지 근대화 논쟁-장기 근대사론을 제기하며-》, 푸른역사.
차명수(2001), 《우리나라의 생활수준 1700-2000》, 서울대학교 출판부.
한국사데이터베이스, 국사편찬위원회, http://db.history.go.kr/
이 자료와 함께 구매한 자료
- 식민지 근대화론의 주장과 그에 반하는 근거 14페이지
- 식민지 근대화 논쟁 4페이지
- 식민지근대화론의 이해와 비판 10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