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漏 水(샐 루, 물 수)
‘물이 샘’을 이른다. 물이 새지 않도록 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말이 잘못 나가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漏 水(샐 루, 물 수)‘이 수도관에서 누수되고 있음이 밝혀졌다’의 ‘누수’를 ‘淚水’라 쓰면 엉뚱한 뜻이 된다. ‘漏水’에 대해 살펴보자. 漏자는 물이 ‘새다’(leak out)는 뜻을 나타내기 위한 것으로 ‘물 수’(水)가 의미요소로 쓰였다. 오른편의 것이 발음요소임은 (부스럼 루)도 마찬가지다. 水자는 ‘시냇물’(stream)이란 뜻을 나타내기 위해서 시냇물이 굽이쳐 흐르는 모습을 그린 것이다. 후에 일반적 의미의 ‘물’(water)을 뜻하는 것으로 확대 사용됐다. . 漏水(누:수)는 ‘새어[漏] 나오는 물[水]’, ‘물이 샘’을 이른다. 물이 새지 않도록 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말이 잘못 나가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2. 초미지급(焦眉之急) 눈썹이 타는 절박한 상황<눈썹이 타는 절박한 상황>. 매우 위급하고 절박한 상황을 <초미의 급한 일>이라고 한다.
3. 甘呑苦吐〔감탄고토〕: 달면 삼키고 쓰면 뱉는다는 뜻으로, 인정의 간사함을 이르는 말.
4. 지어지앙(池魚之殃) 연못에 사는 물고기에게 닥친 재앙
<연못에 사는 물고기에게 닥친 재앙>. 아무 이유도 없이 재난을 당하는 것을 말함. 화와 복은 예고도 없이 찾아와 막을 수 없다고 하는 것이다.
5. 一狐之腋〔일호지액〕: 한 마리의 여우 겨드랑이 밑에서 뜯어낸 희고 고운 모피라는 뜻으로 진귀한 물건을 비유한 말
6. 유능제강(柔能制剛) 부드러움이 굳센 것을 제압할 수 있다유능제강(柔能制剛) : <부드러움이 굳센 것을 제압할 수 있다.> 한 방울의 물이 굳센 바위를 뚫을 수 있듯이, 가녀린 뿌리가 딱딱한 돌을 파고들듯이, 부드러움이 강함을 이길 수 있다는 뜻.
7. 순망치한(脣亡齒寒) : 입술이 없어지면 이빨이 시리다
<입술이 없어지면 이빨이 시리다>. 떼려야 뗄 수 없는 밀접한 관계, 어느 한쪽이 멸망하면 다른 한쪽도 위태로워지는 관계를 말한다.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