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관계사. 최종보고서. 국제사회 흐름 속 한반도(경제, 군사 분야 국제 이슈와 한반도 연관성 탐구)
- 최초 등록일
- 2015.01.05
- 최종 저작일
- 2012.02
- 15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000원
목차
1. 국제 이슈 선택의 기준
2. 군사적 부문의 국제이슈
1) 미-러 간 핵군축협정
2) 핵태세 검토 보고서(核態勢檢討報告書, Nuclear Posture Review)
3) 핵 안보 정상회의
4) 한반도에 있어서 핵문제
3. 경제적 부문의 국제이슈
1) 남유럽 재정위기의 전개 과정
2) 그리스 재정위기의 심층 분석
3) 남유럽 재정위기에 대한 평가와 전망
4) 남유럽 재정위기가 한국에 미친 영향
4. 결론
본문내용
1. 국제 이슈 선택의 기준
논문에서는 크게 경제적 부문에서는 그리스 재정위기 사건을 군사적 부문에서는 핵문제를 다룰 것이다. 각각의 부문에서 한반도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가 본 논문의 주제가 될 것이다.
국제 이슈를 선택하는데 있어서는 틀을 만들고 걸러내는 작업을 진행했다. 우선 경제, 군사 분야로 이슈의 범위를 한정했다. 왜냐하면 이 두 분야가 국제적으로 가장 비중이 있으면서 국가의 생존 여부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분야이기 때문이다. 정치 분야도 경제, 군사 분야와 연결되어있으면서 매우 비중있지만, 경제와 군사 분야를 심층적으로 다루기 위해 생략했다. 문화 분야는 일상생활과 밀접한 연관이 있지만, 국제적으로 그 비중이 적으며 국가 생존 여부와 관계가 다른 분야에 비해 상대적으로 미미하기 때문에 생략했다. 그리고 다음으로 경제, 군사 분야에서 최근 가장 중요하게 다루어지는 이슈를 선택했다. 여기서 '최근 가장 중요하게 다루어지는'이라는 말을 세 가지로 다시 분류해서 나누어 보았다. 국제적으로 중요한 이슈라는 것을 지속성, 세계적인 파급성, 한반도와의 연관성이라는 세 가지로 분류했다. 우선 특정 이슈가 장기적인 지속성이 있다는 것은 그만큼 그 영향력이 크다고 볼 수 있으며, 그 영향과 앞으로의 전망에 대해 논의 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세계적 파급성이 있다는 것은 국제사회에 큰 여파를 가져온다는 것이다. 국제적 영향력이 큰 이슈는 어떤 방식으로든 한반도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다루어야 할 필요성이 있다. 그리고 본 논문의 주요 주제로 한반도와의 연관성을 다룰 것이다. 이 부분을 주요 주제로 선택한 이유는 이것이 개인적으로 서동주 교수님이 진행하시는 국제관계사 수업의 핵심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처음 국제관계사 스크랩을 위해 신문을 준비할 때 '뉴욕타임즈'를 선택할지 '한겨레'신문을 선택할지 고민했었다. 만약 내가 뉴욕타임즈를 택했다면 영어실력도 쌓으면서 미국 중심의 국제적인 안목을 가질 수 있었을 것이다.
참고 자료
윤채현, <지금 당장 환율공부 시작하라>, 한빛비즈, 2010
안병억, <한눈에 보는 유럽연합>, 높이깊이, 2008
정욱식, <글로벌 아마겟돈: 핵무기와 NPT>, 책세상, 2010
죠셉 롯블랏, <핵무기 없는 세계>, 지식공작소, 19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