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어논문번역)체육과 체육교사교육에서의 반성적 실천
- 최초 등록일
- 2014.12.10
- 최종 저작일
- 2014.12
- 10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3,000원
목차
1. 문헌분석과정(The review process)
2. 반성적 실천에 대한 이해(Understanding Recflective Practice)
3. 결과
1) 일반적인 개요(general overview)
2) 체육교육에서의 반성적 실천(Reflective Practice in PE)
3) 체육교사교육에서의 반성적 실천(Reflective Practice in PETE)
4. 논의(Discussion)
1) 예비교사들은 비판적 반성을 배우지 않는다.(Pre-service Teachers do not learn to reflect critically)
2) 체육교사는 반성적 공동체가 필요하다(PE Teachers Need Reflective Communities)
3) 반성의 매체(Media of Reflection)
4) 반성적 실천을 위한 증거 기반?(An Evidence-Base for Reflective Practice?)
5) 체육교육과 체육교사교육에서의 반성적 실천에 관한 앞으로의 연구과제(Future Research in Reflective Practice in PE and PETE)
본문내용
초록
반성과 반성적 실천은 체육과 체육교사교육 연구에서와 마찬가지로 교육연구에서의 핵심적 개념이다. 이 연구의 목적은 1995년부터 2011년까지의 체육과 체육교사교육에서의 반성과 반성적 실천을 위한 근래의 경험적 지식의 base를 돌아보는데 있다. 이 연구는 체육과 체육교사교육 맥락에서의 반성과 반성적 실천을 주제로 한 peer reviewed 저널에서 경험적 연구로 발표된 것들을 포함하고 있다. 모두 33개의 문헌으로, 대부분의 연구는 직적교사교육에서 그들의 반성적 능력을 발달시키는 것에 기초한 체육교사교육 맥락에서 수행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들에서 학생들은 비판적 반성으로서의 진전은 미약한 것을 보여주고 있다. 체육교육 맥락에서는 교사는 반성적 공동체를 위한 필요를 표현하고 있다는 것이 발견되었다. 이러한 연구들의 이론적 방법적 틀은 앞으로의 연구를 위해서 더욱 논의 되어야 할 것이다.
반성, 반성적 실천, 반성적 교수 그리고 반성적 실천인과 같은 관념적 개념은 꽤 오래 동안 교육적 담론의 일부분으로 있어왔다. 정말 반성은 근사한 아이디어로 묘사되어 왔다(Jay $ Johanson, 2002, p.73). 이는 체육교육과 체육교사교육에서도 마찬가지다.
<중 략>
예비교사들이 윤리적 비판적 사고를 촉진시키기 위해서 예비교사들에게 요구되는 반성의 틀과 관련된 개념, 지식, 흥미, 이론 등이 필요한 것인지에 대한 질문이 떠오르게 된다.
이론적 실천 구분의 뒷받침은 체육교사교육을 위한 중대한 도전으로 나타난다. 예비교사들이 비판적으로 반성하기 위한 체육교사교육 프로그램의 강의 구성은 어떻게 되어야 하는가? 체육교사교육 학생들을 위한 생존적 전략이라는 것은 종종 연구에서 언급되는 하나의 이유이다. 그들의 수업에서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 초등학교 예비교사들은 학급경여자가 되어야 하고 그들의 학생들의 행동들을 관리해야한다. 상대적, 보충적인 설명은 반성의 목적이 두가지 상황맥락으로 구성된다는 것을 보여준다. 교육실습에서의 반성의 목적은 구체적 상황에서 체육교육을 가르치는 것이고, 강의 상황에서의 반성은 추상적 상황에서의 체육교육을 가르치는 것이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