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어학개론 - 음성학
- 최초 등록일
- 2014.12.08
- 최종 저작일
- 2014.12
- 5페이지/
MS 워드
- 가격 1,500원
![할인쿠폰받기](/images/v4/document/ico_det_coupon.gif)
목차
1. 음성학(phonetics)
2. 음성학의 세 분야
3. 기류기작(airstream mechanism)
4. 조음 음성학(Articulatory Phonetics)
5. 장애음과 공명음 Obstruents and Sonorants
본문내용
1. 음성학(phonetics)
인간 언어의 말소리를 과학적으로 연구한다. 말소리란 의미를 전달하는 데 사용되는 소리로 공기의 움직임에 의해 생성된다
분절음(sound segments): 하나하나의 실제 소리
(1) 영어화자들은 영어를 알기 때문에 keepout을 keep과 out의 두 단어로 분리할 수 있다. 우리는 일반적으로 떼어서 말한다고 생각하지만 두 단어 사이를 떼지 않고 말한다.
Ex) 두 살 난 아기가 계단을 내려가다가 엄마가 “hold on”하는 말을 들었다. 그 아이는 그 단어가 어떻게 끊어지는지 몰라 “I’m holing don, I’m holing don”이라고 대답했다.
Ex) grade A/ gray day, I scream/ ice cream, The sun’s rays meet./ The sons raise meat.
<중 략>
① 성문의 상태(the state of the glottis)
ㄱ. 무성음(voiceless sound)
a. 성문이 열려있는 상태에서 공기가 아무런 방해를 받지 않고 생성되는 음 ( - voiced)
b. [p, t, k, f, θ, s, š, č, h]이 여기에 속한다
ㄴ. 유성음(voiced sound)
a. 성문이 닫혀 있는 상태에서 공기가 통과하므로 성대가 진동하면서 생성되는 음 ( + voiced)
ㄷ. 무성음의 유기음화(aspiration) – [유기음의aspirated, 무기음의unaspirated]
<중 략>
장애음이 아닌 음은 공명음sonorants이다.
[± sonorant]: 공명음과 장애음을 구별
1. 공명음은 구강(oral cavity)이나 비강(nasal cavity)에서 공명하여 생성되는 소리
2. 공명도가 가장 높은 음은 모음이며 모음 중에서도 입이 많이 벌어지는 저모음이 고모음보다 공명도가 높다.
3. 모음> 전이음> 유음> 비음> 마찰음> 파열음이 공명도가 높은 음부터 낮은 음의 순서이다.
4. 모음, 전이음 [j, w], 유음 [l, r], 비음 [m, n, ŋ]만이 공명음이고 마찰음과 파열음은 장애음 [+ obstruent]이다. [장애음: 마찰음, 파열음, 파찰음]
5. 공명음은 항상 유성음이다. 그러나 유성음 모두가 공명음은 아니다. [+ sonorant]→ [+ voiced]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