Ⅱ. 본론
1. 보건교사의 정의
2. 보건교사의 역할
3. 자격조건 및 시험제도
4. 배치현황/배치기준
5. 보건교사의 연봉
6. 학교보건교육 내용
7. 보건교사의 장점
Ⅲ.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서론
나날이 발전해가는 의료기술과 국민들의 지적수준향상으로 인해 질병치료 보다는 질병예방 및 건강증진에 대한 관심이 높아져 지역사회간호의 중요 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에 따라 지역사회간호의 여러 분야들이 발전해 가고, 학교 보건 또한 중 요시 되고 있기 때문에 보건교사의 영역이 넓어지고 있다.
본문에서 보건교사에 중점을 두면서 학교보건 사업의 역할 및 중요성에 대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Ⅱ. 본론 1. 보건교사의 정의 보건교사는 건강서비스, 보건교육, 건강관리 및 상담, 지역사회와의 연계를 통한 학교 보건업무에 종사한다.우리나라에서는 1953년 교육공무원법(제4조)에서 교사의 자격을 정교사(1급,2급), 준교사, 특수교사, 양호교사(현재 보건교사)로 규정한 이후 양호교사는 법적으로 학교보건의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그러나 문교부장관에 의한 양호교사 자격증의 발급은 1956년에 시작되었다. 그 후 2002년 8월 양호교사 명칭이 보건교사로 변경되어 현행<초 · 중등교육법>에서 교사의 종별은 정교사 · 준교사 · 전문상담교사 · 사서교사 · 실기교사 · 보건교사 · 영양교사로 명시되어있다. 따라서 보건교사는 학교에 상주하며 학교보건을 담당하는 유일한 의료인이다.
출저:[네이버 지식백과] 보건교사 /
[保健[조순자 외 공저 ,『제6판 지역사회간호학(분야별)』, 현문사, 2012년, 8-9쪽 7번째 단락]敎師] (두산백과)
2. 보건교사의 역할
1) 시대적 흐름에 따른 보건 교사 역할 변화
“보건교사의 직무분석 근거에 따른 대규모학교 지원 인력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support staffs in large class schools based on job analysis of school health teachers”라는 논문에 따르면 보건교사의 역할은 시대 변화에 따른 요구로 전염병 혹은 질환의 변천과정과 사회정치 및 교육정책에 따라 긴밀하게 변화하고 발전되어 왔다.
참고자료
· [네이버 지식백과] 보건교사 [保健敎師] (두산백과)
· [네이버 지식백과]보건교사 (자격증 사전, SH 직업연구소)
· <보건교실- www.bogun99.com>
· 송영희, 한양대학교 대학원,[2011] [국내박사]
· <양호나라 http://www.yanghonara.com/>
· <세계일보 http://www.segye.com/ 2012년 6월 24일>
· <경기도교육청>
· http://www.easyneis.kr/bbs/board.php?bo_table=tinsa04&wr_id=5&quick=>
· <안정행정부 공무원성과급여포털 http://pac.mospa.go.kr/>
· [지역사회간호학II-유호신 외(p.162~163 3.학교보건교육 내용 발취]
· [保健[조순자 외 공저 ,『제6판 지역사회간호학(분야별)』, 현문사, 2012년, 8-9쪽 7번째 단락]敎師] (두산백과)
· [조순자 외 공저 ,『제6판 지역사회간호학(분야별)』, 현문사, 2012년, 10쪽]
· [유호신 외 공저 ,『지역사회간호학Ⅱ』, 고려대학교출판부, 2005년, 121-122쪽 4번째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