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X-ray란?
2. X-ray 발생
3. 발생원리
4. 의료 진단용 X-Ray
5. 의료 진단용 X-Ray 원리
본문내용
1. X-ray란?
⇨ 고속 전자의 흐름을 물질에 충돌시켰을 때 생기는 파장이 짧은 전자기파 (Wavelength:0.01~100 Angstorm)
1) 파장이 원자 크기 정도로 작아서 결정마다 고유한 회절무늬를 형성
2) 에너지가 크기 때문에 물질에 대한 형광작용이 강하고, 물질을 쉽게 투과할 수 있고, 투과할 때 물질을 이온화시킨다.
3) 특히 투과 시에는 물질의 밀도, 원자에 따라 투과율이 달라져서 이 원리를 이용한 X선 촬영 장치는 생체 내부를 촬영하는 의료장비와 일반산업의 비파괴검사장비 등으로 널리 사용.
4) X선의 파장이 짧으면 투과율이 커지고 화면이 선명해진다. (높은 가속전압일수록 짧은 파장의 X선이 발생)
2. X-ray 발생
<그 림>
⇨ 진공관 내에서 음극(Cathode)을 가열시켜 방출된 열전자가 음, 양극 사이에 인가된 높은 전압에 의해 가속되어, 양극(Target)에 충돌. 이때 전자의 운동 에너지가 X선과 열에너지로 변환.
참고자료
· http://www.seceng.co.kr/v1/technical/page_011.php
· http://blog.samsungdisplay.com/64
· http://nuclear.lawinfo.or.kr/ATOM/jsp/daily/4-5-3.jsp
· 네이버 지식 백과사전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