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장관계구조와기능
- 최초 등록일
- 2014.11.19
- 최종 저작일
- 2014.04
- 5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500원
목차
1.1. 구강
1.2. 식도
1.3. 위
1.4. 작은창자(소장)
1.5. 큰창자(대장)
본문내용
위장관은 구강에서 항문까지 약 9m에 이르는 긴 관으로 음식물 섭취와 이동, 섭취한 음식물의 소화, 소화된 음식물의 흡수, 그리고 분변을 형성항 배설하는 기능을 한다.
1. 위장관계 구조
1.1. 구강 / 1.2. 식도 / 1.3. 위 / 1.4. 작은창자(소장) / 1.5. 큰창자(대장)
1.1.구강(Oral cavity)
1) 구조: 뺨, 경구개(hard palate), 연구개(soft palate), 치아, 침샘, 혀(tongue).
2) 기능: 저작, 타액분비, 연하기능.
·저작: 소화의 시작, 구강 내 음식물로 인해 자극
좀 더 작은 입자로 음식물을 분해
·타액분비: 혀밑샘, 턱밑샘, 귀밑샘에서 하루에 1~1.5L씩 분비
음식 덩어리를 연화시킴
전분을 maltose로 분해
·연하: 연수의 연하중추에 의해 조절되는 수의적인 운동
*연하의 과정(3단계)
① 수의적 구강기
② 불수의적 인두기
③ 불수의적 식도기
1.2. 식도(Esophagus)
1) 구조: 직경 2cm, 길이 23~25cm의 속이 빈 근육성 관
기관,후두의 뒤편~종격동~횡격막~제6경추~제11흉추
상·중·하부로 구분
장막(serosa)이 없는 상부와 중간부위에 염증이나 암이 있으면 주변의 종격동으로 전이가 쉬움
상부는 가로무늬근이나, 평활근처럼 작용하여 수축과 이완을 함
하부는 평활근
참고 자료
성인간호학Ⅰ.김금순, 김영숙, 최경옥 외 2명. 수문사(2004).
인체해부학. 안희경 외 7명. 고문사(2013).
https://www.google.co.kr/search?newwindow=1&hl=ko&site=imghp&tbm=isch&source=hp&biw=1366&bih=651&q=%EC%9C%84%EC%9E%A5%EA%B4%80%EA%B3%84&oq=%EC%9C%84%EC%9E%A5%EA%B4%80%EA%B3%84&gs_l=img.3..0i24l3.1679.3374.0.3681.12.12.0.0.0.4.233.1446.5j6j1.12.0....0...1ac.1j4.36.img..5.7.915.4R_eQuFMR1Y#hl=ko&newwindow=1&q=%EC%9C%84%EC%9E%A5%EA%B3%84&tbm=isch&facrc=_&imgdii=_&imgrc=c_6mVtT1kPqQpM%253A%3B5QSRBo7kSgKx5M%3Bhttp%253A%252F%252Fai.esmplus.com%252Fanymed%252Fproduct%252F20anatomic%252F04chart%252F03digest%252Fvr1422.jpg%3Bhttp%253A%252F%252Fwww.anymedi.co.kr%252Fshop%252Fshopdetail.html%253Fbranduid%253D6518%3B600%3B775
성인간호학Ⅰ.김금순, 김영숙, 최경옥 외 2명. 수문사(2004).
인체해부학. 안희경 외 7명. 고문사(2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