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성신우신염 acute pyelonephritis case study
- 최초 등록일
- 2014.11.18
- 최종 저작일
- 2014.09
- 13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500원
목차
Ⅰ. 서론(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문헌고찰
Ⅲ. 간호 사정
Ⅳ. 간호과정
Ⅴ. 결론
Ⅵ. 출처
본문내용
Ⅰ. 서론(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급성 신우신염은, 최근 ‘감기처럼 찾아오는 신우신염’, ‘여성의 건강을 위협하는 신우신염’이라는 수식어가 붙을 정도로 이슈화 되고 있다.
급성 신우신염의 증상은 발열과 허리통증을 포함하여 몸살과 같은 증상으로 시작되기 때문에 몸살로 간과한 채 증상과 질병이 심해진 뒤에야 병원을 방문하는 경우가 많다고 한다.
급성 신우신염에 걸린 채 방치할 경우 신장이 위치한 옆구리에 심한 통증이 나타나고, 방광염을 동반할 수 있기 때문에 긴박뇨, 절박뇨 등의 증상또한 나타날 수 있다. 심지어 합병증으로 신장 농양이나, 요로폐쇄등의 결과를 가져올 수 있기 때문에 간호학생이지만, 한 사람의 여자로서 꼭 알아둬야 할 급성 신우신염의 증상과 치료, 간호에 대해 알아보려고 한다.
Ⅱ. 문헌고찰
- 정의
급성 신우신염은 요로감염의 일종으로 신장에 세균 감염이 발생한 것을 말한다.
- 원인
세균에 의한 감염이 원인이며, 원인균의 85%는 대장균이다. 젊은 여성의 경우 특별한 해부학적 이상이나 기능적 이상이 없어도 잘 발생하며, 비뇨기계와 관련된 수술이나 기계적 조작에 의해서 발생할 수도 있다.
- 증상
허리 통증과 발열 등이 주된 증상이며, 방광염을 동반한 경우에는 방광염의 증상인 긴급뇨(갑자기 소변이 보고 싶어 달려가다가 소변을 보는 것), 절박뇨(절박하게 소변이 마려우며 소변을 참지 못함), 배뇨통 등이 동반된다. 심한 감염의 경우에는 혈뇨를 보이기도 한다.
- 진단
신우신염의 진단은 임상 증상과 소변검사 및 요 배양검사를 기본으로 하여 이루어진다.
- 치료
초기에 투여하는 항생제는 그 지역 사회에 흔하게 배양되는 세균에 어떤 항생제가 효과적인지(세균의 항생제 감수성)에 따라 선택되며, 배양되는 세균의 감수성에 따라 항생제를 변경할 수 있다.
단순 신우신염은 1~2주간 먹는 항생제를 통해 외래에서 치료할 수 있다. 그러나 위장이 좋지 않아 먹는 약을 복용하지 못하거나 신체 전반에 걸쳐 증상이 심한 경우에는 입원하여 주사 항생제 치료를 받아야 한다.
참고 자료
서울 아산병원 의료정보-검사정보
삼성 서울병원 건강백과-질환정보
학습성과 기반 성인간호학 실습Ⅱ지침서
성인간호학Ⅱ/수문사/제7판/김금순, 최경옥, 현경선, 윤은자, 김숙영 외 3인
DROG INFO-의약정보 검색
현문사, NANDA 간호진단과 중재 가이드
EMR(Electronic Medical Record), 간호기록지-한양대학교 구리병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