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찰기록: 모두 이를 닦는 시간이다. 아이들이 차례대로 양치를 한다. **이가 노랑색 발바닥에 발을 잘 맞춰 서 있다가 들어온다. 실습생이 아이들에게 “구석구석 양치해야지”라고 말하며 양치하는 시늉을 하자 모두 따라 한다. **이가 거울 속에 비친 실습생을 보며 웃는다. 실습생이 “거울로 선생님이 다 보고 있어.”하자 **이가 더욱 열심히 양치를 한다. 실습생이 양치가 다 끝난 00이에게 “깨끗하게 했나 보자. 아~”하자, 00이가 따라서 “아~”하고 입을 벌린다. 옆에 서 있던 **이가 이를 지켜보다가 실습생에게 다가와서 “저도 깨끗한지 봐주세요.”한다. 실습생이 “응, 깨끗하게 닦였네.”라고 말해준다. 그러자 **이가 다시 “또 봐주세요.”라고 한다. 실습생이 “잘 닦였어.”라고 말한다. **이가 화장실 신발을 정리하고 나온다.
논평: **이는 기본생활습관을 잘 형성하고 있는 듯 보인다. **이는 실습생이 따로 이야기 하지 않아도 질서를 지켜 줄을 서고 들어가서 깨끗이 양치를 한다. 그리고 실습생의 이야기를 귀담아 두며 열심히 양치를 하고 나서 확인을 받으려고 하고 있다.
A. **이는 건강한 생활을 위한 기본생활습관을 잘 기르고 있다. **이는 양치를 할 때 다른 사람의 강요없이 꼼꼼하게 하고 확인을 받았다. 앞으로도 **이가 건강한 기본생활습관을 잘 유지할 수 있도록 건강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식사, 수면과 휴식, 배설, 청결, 의생활 등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알려주어야 한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하루 일과를 계획하여 지도해 건강한 생활을 유지할 수 있도록 돕는다.
B. **이는 안전한 생활을 위한 기본생활습관을 잘 기르고 있다. 현재처럼 **이가 바람직한 기본생활습관이 나타날 경우에는 그것에 대해 칭찬을 해주고 잘못된 생활습관이 나타날 경우에는 이유를 설명하고 필요한 경우 연령에 맞도록 다른 대안을 제시한다. 또한 이러한 과정이 성인의 무리한 강요가 아니라 유아가 스스로 하고자하는 동기유발의 과정이 되어야 한다.
유아를 지도할 때는 유아의 개개인의 발달단계나 습관형성의 시기를 충분히 고려해 칭찬과 기타 긍정적인 방법을 사용하도록 한다.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