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편종의 유래
2. 편종의 구조와 부분명칭
3. 편종의 음역음색 및 조율법
4. 편종의용도
5. 편종의 연주법
6. 편종의 대표적인 연주곡
7. 결론 및 느낀점
본문내용
1. 편종의 유래
편종은 2500년 전부터 중국에서 사용해온 것이며 우리나라에는 1116년(고려 예종 11년)에 송나라에서 편종이 유입되었다.
고려와 조선초기에는 편종을 중국에서 수입하여 사용했기 때문에, 아악 연주 때 편종의 수가모자라고 악기의 음률도 맞지 않는 등의 어려움이 있었다.
그 후 조선 세종 7년 경기도 남양에서 경돌을 발견하게 되어 그때부터 주종소를 두고 직접만들어 사용 하였다. 종의 크고 작음에 따라 음높이가 결정되는 송나라의 편종 만드는 법을 버리고 조선 세종 때 박연의 주장에 따라 종의 크기는 같고 두께에 따라 음높이가 달라지는 법으로 편종을 만들어 현재에 이른다.
2. 편종의 구조와 부문명칭
두 개의 방대 위에 푸른색을 칠한 목사자 한 쌍을 받침으로 한다.
그 위에 종을 달 나무틀을 세워 양편에 용두를 조각하고 용두입에는 7층의 색사유소를 물려 드리운다. 틀 꼭대기에는 다섯 마리의목공작을 세워 장식하였다.
이러한 여러 장식 가운데 나무 사자 모양을 장식한 것은 편종의 웅장한 소리를 사자의 포효하는 소리와 비교하여 상징화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