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머리말
《三國遺事》는 《三國史記》와 함께 우리나라 古代史에 관한 史書의 쌍벽을 이루고 있는 귀중한 文獻으로 평가되고 있다. 이와 같이 우리나라 古代史硏究에서 차지하는 《삼국유사》의 비중이 막중한 만큼 이에 대한 주목은 六堂 崔南善의 《삼국유사해제》 이후 계속되어 왔다. 《삼국유사》와 관련 연구 자료는 국내외를 포함하여 500여건이 넘고, 연구 자료의 제목에 《삼국유사》가 들어간 것만도 300여건이 넘는다.
《삼국유사》에 대한 史學史的 입장에서의 본격적인 연구가 이루어지기 시작한 것은 震檀學會가 주최한 제1회 韓國古典硏究 심포지움에서 ‘《三國遺事》의 綜合的 檢討’가 시도된 1973년 이후의 일이라고 생각된다. 본인은 《삼국유사》의 성격을 역사서로 보고 지금까지의 연구 성과를(연구자료 제목을 통해서 드러나는 非歷史學的 접근자료 등 북한, 외국자료 제외) 정리하고 이것을 통해서 撰者 일연의 생애와 찬술동기, 사관, 《삼국유사》의 성격, 일연의 고려시대 인식을 알아볼 것이다. 또 삼국유사의 체재와 내용을 살피려 한다.
2. 《삼국유사》의 연구 성과
삼국유사에 관련한 연구는 한국 뿐 만 아니라 북한과 일본에서도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또, 역사학계 뿐 만아니라 국문학, 미술사학, 민속학, 종교(불교, 도교), 서지학 등의 여러 분야에서 향가, 방언, 설화, 문한, 의례, 무속, 철학, 불교, 도교, 여성, 건축, 문화재, 외교, 지리, 기상, 고고학, 법, 기호학, 인쇄 등 다양한 주제로 연구되고 있다.
역사학계의 연구 성과를 나열해 본다면 《삼국역사》의 사학사적 의의를 살펴본 것이 있었다. 일연의 개인사를 연구하며 그의 사료 수집 방법, 역사의식을 살펴 본 것과 《삼국유사》에 활용된 사료나 사서 자체의 사료비판과 기록, 사서로서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연구에 관련된 것, 《삼국유사》의 내용과 체재, 서술방식이나 《삼국유사》의 간행과 유통에 관련된 연구도 있다. 또 서서를 통해서 일연이 어떻게 고려시대를 인식하고 있었는지 연구 성과도 있다.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