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항공기 중량
1) 최대 중량(Maximum Weight)
2) 자체 중량(empty weight)
3) 유상 하중(useful load)
4) M.T.O.W. : Maximum Take-off Weight, 최대 이륙중량
5) M.L.D.W. : Maximum Landing Weight, 최대 착륙중량
6) MZFW : Maximum zero Fuel Wight, 최대 무연료 중량
3. 최대허용이륙중량 (AGTOW) 결정
4. 모멘트(Moment)
5. 무게중심(CG)의 범위
6. 웨잉 포인트(weighting point : 무게 측정 지점)
7. 무게중심을 구하는 방법
본문내용
1. 중량과 평형(weigh and balance)의 원리
첫째는 비행중 항공기의 정상 조작을 위하여 규정된 중량과 중심을 control하여 안전운항을 도모하며 적절한 W&B 수행으로 경제 운항을 도모하기 위함이고 둘째는 항공기의 수평 안전판(horizontal stabiliezer)을 찾기 위함이다.
2. 항공기 중량
항공사 운항관리사는 절대 안전과 회사의 효율성, 경제성을 바탕으로 매 편 비행계획을 작성 할 때, 각 노선마다 빈 항공기(Empty Weight)에 운항할 승무원(운항승무원, 객실승무원)의 숫자를 고려하고, 기내식과 F.A.K(First Aid Kit) 등 필수 항목들을 추가하여 해당 노선을 운항할 항공기의 표준중량을 결정한다. 이것이 S.O.W(Standard Operating Weight)이다.
<중 략>
중량이 더해지면 +가 되고, 중량을 빼면 -가 된다. 암의 표시는 기준선에 좌우된다. 즉 기준선보다 전방이면 -이고, 후방이면 +이다. 암과 중량모두 +이면 모멘트도 +이다. 그리고 암과 중량 모두 -여도 모멘트는 +이다. 만약 암이 -이고 중량이 +이거나 암이 +이고 중량이 - 이면 모멘트는 -이다. 기준선을 항공기의 노스 전방에 두면, 암을 측정할 때는 항상 +이고, 오직 중량을 떼어낼 때만 -이다.
5. 무게중심(CG)의 범위
무게 중심은 노스 헤비 모멘트와 테일 헤비 모멘트가 똑같아지는 지점이다.
무게 중심의 범위의 제한은 제작사에 의해서 설정되고, 이것은 항공기의 안전 비행을 위한 것이다. 보통 2개의 무게중심 범위가 있는데, 하나는 자체 중량 무게중심범위(ECGR : empty CG range)이고, 나머지 하나는 작동 중량 무게중심 범위(OCGR: operating CG range)이다. 자체중량 CG범위는 자체중량 CG가 어느범위 내에 있게 한 것이다. 이범위 내에 있으면 비행 특성에 아무런 영향을 끼치지 않는다. 그렇지만 항공기는 이 자체 중량 CG범위는 갖고 있지 않다. 작동 중량 CG 범위는 적재한 항공기의 전방과 후방의 설정된 CG 한계이다. 이 한계는 비행 중에 절대로 준수해야 되고, 적재 하중을 고르게 분배해야 한다.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