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소음의 정의와 관찰 목적
2. 용도별 실내소음 설계기준표
3. 측정을 위한 준비물
4. 자연관의 측정 방법
5. 동악관 측정방법
5. 방음문의 종류
6. 측정표
7. 소음대책
8. 대안책
9. 인터뷰 및 고찰
10. 고찰
본문내용
1. 소음의 정의와 관찰 목적
실내 소음 [ room noise , 室內騷音 ]
정의: 실내에서 발생하는 소음(내부 소음) 또는 실외에서 침입하는 소음, 또는 그 두 가지를 합한 소음.
이번 과제의 목적
▶ 이번 실험의 목적은 각 교내 건물에 설치된 강의실 문들의 방음 정도를 측정하여 비교하였습니다. 이를 통해 학생들의 학습활동에 도움이 되는 대안을 작성하였습니다.
-문의 종류에 따라서도 방음의 정도를 측정하였습니다.
(단 투과손실(TL)을 구하지 않았으며, 강의실 면적 역시 제외하였습니다.)
▶ 실험 결과를 통해 방음이 되어 있지 않은 시설에 대한 대안
2. 용도별 실내소음 설계기준표
위에 있는 기준에 따라 학교 내 강의실에 배경소음을 측정하여 이에 합당한 dB을 가지는지에 대해서도 비교하여 봤습니다.
3. 측정을 위한 준비물
번 소음도를 측정하기위하여 송동웅교수님의 소음계(SLM. Sound Level Meter, 소음계(ONO Sokki))와 전자온도계를 사용하였습니다.스마트폰에서 사용되는 경고음 이용-White noise: 차임벨
▶관찰 장소 분석
자연관(3층)
-강의실의 문은 철문으로 되어 있었다.
-복도로 향하는 방향의 창문이 없었다.
동악관(2층)
-강의실의 문은 나무문으로 되어 있었다.
-수업시간이어서 주위에 사람이 없었다.
-복도로 향하는 방향의 창문이 있었다.
학술관(5층)
-독서실 문은 방음이 되어 있는 문이었다.
-주위에 엘리베이터와 쓰레기통(철)이 있었다.
-복도로 향하는 방향의 창문이 없었다.
4. 자연관의 측정 방법
자연관의 측정방법도 다른 곳과 같이 높이=1.5, 소음원 발생원과 소음계 사이 1m로 두어 측정을 하였습니다. 측정도구로는 일정한 음이 나는 차임벨을 사용하여 5초마다 50번씩 측정하였습니다.
▶환경적 요소(자연관)
온도: 25.6℃(학습실 외부), 28.4℃ (학습실 내부)
습도: 32%(학습실 외부), 38%(학습실 내부)
기타: 학생들의 움직이는 시간을 제외하고는 복도에서는 크게 소음이 발생되는 일이 없었습니다.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