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문제의 제기
Ⅱ. 국내 한국학의 ‘민족 만들기’와 ‘근대 찾기’
Ⅲ. 한국학과 한국어 문학
Ⅳ. 한국어와 한국어교육의 새로운 미래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문제의 제기
한국어가 모국어라는 사실 이외에 따로 내세울만한 교양이나 지식이 전무(全無)한 입장에서 한국어 및 한국어 교육에 대해 의견을 제시하는 것은 천부당만부당(千不當萬不當)한 일이 아닐 수 없다. 그러기에 한국어를 일종의 사건으로 경험했건 개인사(個人史) 두 가지를 소개하는 것으로 문제제기에 해당하는 서론을 대신하고자 한다.
첫째는 수년 전 대입 수능고사 언어영역 출제위원으로 일했을 때 이야기다. 나처럼 국어교육이나 국어연구와 무관하게 살고 있던 한 사회학도에게 언어영역 시험문제 공동출제의 기회가 주어진 것 자체는 매우 신선한 충격이었다. 언어영역을 국어학자나 국문학자들이 독점하고 있지 않다는 점은 ― 사실은 과점(寡占)이었다 ― 대단히 반갑고 다행스러웠다. 그런데 막상 출제위원들이 함께 모여 시험문제를 준비하는 과정에서 사전에 전혀 예상하지 못했던 점을 발견했다. 우선 시험문제 개수(個數)가 세부 전공분야별로 철저히 안배되었다. 언어영역은 유기적으로 결합된 하나의 전체가 아니라 어학과 문학, 고문과 현대문, 인문학과 사회과학, 자연과학 등 영역 구분에 의거하여 구획화(區劃化)되고 파편화되었다. 그것은 일종의 ‘밥그릇 싸움’같았다. 또한 문학작품들에 대한 평가가 언어 외적(外的) 기준에 의해 이루어지기도 했다. 문화적 혹은 예술적으로 아무리 가치가 있어도 가령 해당 작가에게 친일이나 친군부독재의 혐의가 있으면 시험문제의 소재가 될 수 있는 자격을 원천적으로 박탈당했다.
두 번째 이야기는 이보다 훨씬 더 사적인 것이다. 나는 비교적 오랜 기간 동안 신문에 잡문(雜問) 혹은 칼럼을 쓰고 있다. 비록 글쓰기의 보람을 전적으로 부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워낙 재주와 능력이 없어 매번 너무나 고통스럽게 그 일에 임하는 형편이다. 그 결과, 아니나 다를까 강호(江湖)의 소위 ‘우리말’ 전문가들로부터 종종 혹독한 비판을 받곤 한다. 신문에 실린 내 글이 며칠 후 새빨갛게 고쳐져 되돌아 올 때마다 한편으로는 한없이 부끄럽다.
참고 자료
강명관, 2007. 『국문학과 민족 그리고 근대』, 소명출판
강진호, 2007. 『국어교과서와 국가이데올로기』, 글누림
강원택, 2006. “한국인의 국가정체성과 민족정체성: 대한민국 민족주의,” 강원택 (편), 『한국인의 국가정체성과 한국정치』, 동아시아연구원
베네딕트 앤더슨, 윤현숙 (옮김), 2006. 『상상의 공동체: 민족주의의 기원과 전파에 대한 성찰』, 나남출판
김성보, “21세기의 한국현대사 연구방향,”『한국사론』30
김영명, 2000. 『나는 고발한다: 김영명 교수의 영어 사대주의 뛰어넘기』, 한겨레신문사
김영명, 2001. “세계화와 언어문제,”『아시아문화』(한림대 아시아문화연구소) 17
김영욱, 2007. 『한글-세종이 발명한 최고의 알파벳』, 루덴스
김진균, 1997. 『한국의 사회현실과 학문의 세계』, 문화과학사
김진호, 2005. “한국어 세계화와 한국어 교육,” 제22회 한말연구학회 국제학술대회 발표논문(2005.7.15, 춘천교대 강의동)
복거일, 『국제어 시대의 민족어』, 문학과지성사
손준식․이옥순․김권정, 2007. 『식민주의와 언어』(아름나무)
신지연, 2007. 『글쓰기라는 거울』(소명출판)
앙드레 슈미드, 정여울 (옮김), 2007. 『제국 그 사이의 한국, 1895-1919』, 휴머니스트
이연숙, 2001. “일본의 영어공용어화론,”『아시아문화』(한림대 아시아문화연구소) 17
이연숙, 고영진(옮김), 2006. 『국어라는 사상: 근대 일본의 언어인식』, 소명출판
임지현, 1999. 『민족주의는 반역이다: 신화와 허무의 민족주의 담론을 넘어서』, 소나무
전상인, 2007. “해외 한국학의 진흥을 위하여,”한국국제교류재단 (엮음), 『해외한국학백서』, 을유문화사, pp. 14-28
정두희, 1999. 『미국에서의 한국학 연구』, 국학자료원
최주열, 2006. “‘신한류’ 정책으로서의 한국어 교육,”『비교한국학』14(2)
탁석산, 2004. 『한국의 민족주의를 말한다』(웅진닷컴)
학술단체협의회 (엮음), 2003. 『우리 학문 속의 미국』, 한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