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족문학론] - 해방 후 민족문학론과 비평교육의 과제,민족문학론의 비평교육적 인식,해방이후 남한에서의 민족문학론 전개 과정
*근*
다운로드
장바구니
소개글
믿고 받아 가셔도 되는 자료입니다. 레포트 쓰시는 데 유용하게 사용하셨으면 좋겠습니다.^^목차
Ⅰ. 민족문학론의 비평교육적 인식Ⅱ. 해방 후 남한에서의 민족문학론 전개 과정
1. 해방 직후의 민족문학론
2. 1950년대의 민족문학론
3. 1960년대의 민족문학론
4. 1970년대의 민족문학론
5. 1980년대의 민족문학론
Ⅲ. 1990년대 이후 민족문학론과 그 비평교육적 과제
본문내용
Ⅰ. 민족문학론의 비평교육적 인식문학비평의 교육적 위상에 대한 논의는 여러 논자들에 의해 이루어진 바 있다. 문학교육이 문학텍스트의 이해, 감상, 평가의 능력을 길러주는 데 있다는 점에서 문학교육에서의 문학비평적 시각의 필요성을 강조한 바 있으며, 문학교육을 넓은 의미에서의 비평행위라는 입장을 견지하면서, 문학교육에서 비평행위의 중요성을 논의하기도 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견해에 힘입어 한국 비평사를 문학교육의 장에 끌어옴으로써 비평텍스트를 보는 관점과 비평텍스트를 생산하는 관점을 제시한 바도 있다. 또한 문학 작품 읽기 전략으로서의 문학비평이나 김남천 비평을 예로 들어 비평 활동의 의미를 논의한 바도 있다. 이상의 논의들은 문학교육과 문학비평의 관련성을 인식하고 비평교육의 실천을 모색하고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그러나 비평일반을 어떻게 가르치고 배울 수 있겠는가 하는 점에 대한 설득력 있는 논구가 필요하다는 지적을 볼 때 좀더 깊이 있는 논의가 이어져야 할 것이다.
이 글은 이러한 논의들을 참고하여 우리 근․현대문예비평사의 중요한 축을 이루는 민족문학론을 해방 이후를 중심으로 살펴보고, 그 비평교육적 과제는 무엇인지를 논의하고자 한다.
한국 근․현비평사에 있어서 민족문학은 많은 연구자들의 관심의 대상이 되어 왔다. 그만큼 우리 비평사에 있어서 민족문학이 차지하는 비중은 크다하겠다. 그러나 민족문학이 무엇을 일컫는지 그 실체에 대해서는 여전히 의견이 분분한 실정이다.
민족문학을 회의적으로 보는 입장에서는 민족이란 소재 내지는 주제적 측면을 일컫는 것으로 ‘민족’이 지닌 미학적 형식이 명료하지 않다는 점을 들고 있다. 또한 민족문학에 대한 논의는 리얼리즘, 특히 전형론 등을 중심으로 전개되기 때문에 독자적인 미학 원리가 부재함으로써 그 독자성이 의심된다고 비판받아 왔다.
그러나 이러한 관점은 이론이나 개념이 형성된 역사성과 그것이 지닌 긍정적인 측면을 간과한 점이 있다. 민족이란 역사와의 관계 속에서 파악되어야 하며, 민족문학이란 바로 그 민족의 삶이 위협받고 위기에 처한 상황에 근거한 것으로, 민족의 현실에 대응하는 주체적 실천 속에서 존립하는 문학이념이라 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그 미적 형식은 문학과 현실과의 연관을 중시하는 리얼리즘 혹은 현실주의에 근거했던 것이다.
참고 자료
구인환 외, 문학교육론, 삼지원, 2001.구재진, 「민족문학론-화두를 지키기 위하여」, 민족문학사연구 제12호, 민족문학사연구소, 1998.
김동리, 「순수문학의 진의」, 서울신문, 1946. 9. 15.
김상욱, 「문학이념과 문학교육」, 문학교육의 방법, 한길사, 1991.
김성진, 「문학교육에서 비평 활동에 관한 연구: 비판적 읽기와의 관련을 중심으로」, 국어국문학 제130호, 2002.
김영민, 「1950년대 민족문학론 연구」, 현대문학이론연구 12집, 현대문학이론학회, 1999.
김영민, 「해방 직후 한국 문학비평사 연구」, 현대문학이론연구 제11집, 현대문학이론학회, 1999.
김윤식, 한국현대문학비평사, 서울대학교출판부, 1982.
김재용, 「분단 현실의 변화와 민족문학의 모색」, 실천문학 제46호, 1999. 여름.
김지하, 「풍자냐 자살이냐」, 민중문학론, 문학과지성사, 1984.
박기범, 「제7차 교육과정에 따른 문학 교과서의 내용 분석 연구」, 제29회 한국문학교육학회 학술대회 발표문.
박현채, 「민중과 문학」, 민족, 민중 그리고 문학, 지양사, 1985.
백낙청, 「민족문학 개념의 정립을 위해」, 월간중앙, 1974. 7.
성민엽, 「민중문학의 논리」, 예술비평, 1984. 가을.
신승엽, 「배수아 소설의 몇 가지 낯설고 불안한 매력」, 민족문학을 넘어서, 소명, 2000.
우한용, 「소설교육의 기본구도」, 소설교육론, 평민사, 1993.
유문선, 「남한 리얼리즘론의 전개과정」, 다시 문제는 리얼리즘이다, 실천문학사, 1992.
이선영․하정일, 「해방 직후의 민족문학론과 근대관」, 민족문학사연구 제8호, 민족문학사학회, 1995.
임경순, 「비평교육에 대한 일 고찰」, 선청어문 제25집, 서울대국어교육과, 1997.
임경순, 문학의 해석과 문학교육, 역락, 2003.
임규찬, 「80년대 민족문학 논쟁」, 작품과 시간, 소명출판, 2001.
임 화, 「문학의 인민적 기초」, 중앙신문, 1945.12.8-14.
조정환, 「80년대 문학운동의 새로운 전망-민주주의 민족문학론의 제기」, 서강 17집, 1987.6.
조정환, 민주주의 민족문학론과 자기비판, 연구사, 1989.
진정석, 「민족문학과 모더니즘」, 민족문학사연구 제11집, 민족문학사학회, 1997.
하정일, 분단 자본주의 시대의 민족문학사론, 소명출판사, 2002.
柄谷行人, 일본 정신의 기원, 송태욱 역, imagine, 2003.
Pêcheux, M., Language, Semantics and Ideology, H. Nagpal trans., St. Martin's Press, 198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