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문학개론] -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에서 문화를 통합시키기 위한 교육적 방안,외국어 교육과 문화, 문화교육의 목표,교육적 방안의 실례들,미래의 방향
*근*
다운로드
장바구니
소개글
믿고 받아 가셔도 되는 자료입니다. 레포트 쓰시는 데 유용하게 사용하셨으면 좋겠습니다.^^목차
1. 외국어 교육과 문화1) 문화의 정의
2) 문화 교육에 따르는 위험과 함정들
2. 문화교육의 목표
3. 교육적 방안의 실례들
1) 존대법에 대한 활동
2) 문화적 소산품들을 가르치는 방안
3) 의사 불통 사례들을 분석하는 활동
4. 미래의 방향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외국어 교육과 문화1.1 문화의 정의
크람쉬(1993)는 언어를 사회적 실천으로 볼 경우 문화는 언어교육의 핵심이 될 수밖에 없다고 했다. 따라서 가장 기본적인 전제는 문화와 언어는 분리할 수 없다는 사실이다. 많은 학자들이 제시한 논거들(1994년에 아가가 말한 Linguaculture와 판티니 1995, 크람쉬 1993, 맥카디와 카터 1994)은 충분한 증거를 바탕으로 그 두 가지 양분법을 해체하고 있으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외국어 교육자들은 언어를 “문화적 사실들을 전수하기 위한 중립적 도관”으로 생각하고 개념화시키고 있다(크람쉬, 케인 & 머핀-르죈 1995:5). 그렇게 함으로써 문화로서의 언어가 아닌 언어와 문화로 분리 가능한 실체로 개념화하는 것을 강화하고 있다. 달리 말하자면, 문화란 언어와 섞어 짜여진 것이 아니라 말하기, 읽기, 듣기 그리고 쓰기 기능 다음으로 개발해야 할 언어교육에서의 다섯 번째 기능쯤으로 잘못 인식되고 있다는 말이다(크람쉬, 1993).
미국 정부에서 주요 외국어 교육협회에 의뢰하여 개발한 외국어 학습 기준에서는 문화를 “문화적 배경, 행동적 책략 그리고 유형 및 무형의 문화적 소산품”이라고 정의 한다(국가 기준, 1996:43). 이 정의는 문화가 단지 사실과 인공 산물만을 끌어들이는 것이 아니라 그것은 세계관과 언어화자의 생활방식 까지도 포함하는 것이다. 더 자세히 살펴보면 배경이란 의식, 태도, 가치 그리고 그 문화 그룹의 세계관을 형성하는데 적합한 개념들로 설명되고, 관습이란 사회적 상호작용에서 “언제, 어디에서, 무엇을 해야 하는가”를 안다는 것을 의미한다(국가 기준, 1996:46). 그 두 가지 요소는 학생들로 하여금 문화적 관습이란 그 사회 특유의 세계관과 관계된다는 것을 이해하도록 도와주는 데 중요한 것임을 강조한다. 그러므로 그러한 목적을 향하여 한 문화의 소산품들, 즉 “문학 작품, 도구들, 음식, 음악과 오락”등은 특정 사회의 배경을 반영하는 것들로 볼 수 있다.
참고 자료
조영미. 2001. 미국에서 한국어 교재 개발 현황 및 방향. 한국어 세계화 제2차 학술대회 발표 논문.Agar, M. 1994. Language shock: Understanding the culture of conversation. NY: William Morrow.
Alfred, G. Byram, M. & Fleming, M. 2003. Intercultural experience and education. Clevedon, UK: Multilingual Matters.
Byram, M. 1997. Teaching and assessing intercultural communicative competence. Clevedon, UK: Multilingual Matters
Cho, Y., Lee, H., Sohn, H. Sohn, S. Schulz, C. 2000. Integrated Korean. KLEAR University of Hawaii-Press.
Fantini, A. 1995. Introduction: Language, culture, and world view: Exploring the nexus. International Journal of Intercultural Relations, 19, 143-153.
King, R. 1998. Korean as a heritage language vs.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in North America and the former USSR. Acta Koreana. Vol. 1
Kramsch, C. 1993. Context and culture in language teaching.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Kramsch, C., Cain, A., & Murphy-Lejeune, E. 1996. Why should language teachers teach culture? Language, Culture and Curriculm, 9 (1), 99-107.
Lee, J.S. and McChesney, B. 2000. Discourse Completion Tasks: A teaching tool for developing sociocultural competence. Oxford University Press: English Language Teaching Journal Vol.54/2. pp.161-168.
McCarthy, M. & Carter, R. 1994. Language as discourse: Perspectives for language teaching. London: Longman
Patrikis, P. 1988. Language and culture at the crossroads. In In A.J. Singerman (ed.) Toward a new integration of language and culture. Reports of the Northeast Conference on the teaching of foreign languages. Middlebury, VT: Northeast Conference. pp.13-24.
Omaggio Hadley, A. 2001. Teaching language in context. Heinle & Heinle. Standards for Foreign Language Learning: Preparing for the 21st Century. 1996. National Standards in Foreign Language Education Proje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