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결정과정에서의 SNS의 역기능과 보완점에 관한 연구
- 최초 등록일
- 2014.10.18
- 최종 저작일
- 2013.04
- 7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정치적 공론장으로서 SNS의 역할 의의
2. SNS의 공론장의 역할에 대한 역기능에 대한 이론적 논의: 사례 중심으로
Ⅲ. 결론
본문내용
Ⅰ. 서론
오랜시간 동안 가장 우수한 통치이념으로 인식되어왔던 대의민주주의는 선거라는 과정을 통해 국민 자신의 정치적 선호를 표현했다. 선출된 대표자는 자신을 지지해준 유권자의 선호를 반영하여 중요 정책에 대한 결정 과정에 참여해야 하는 의무가 있다. 그러나 20세기 중반부터 미디어는 권력화되어 시민의 의사를 반영하는 여론은 조작, 왜곡의 가능성이 높아졌으며, 시민들의 정상적인 정치적 참여는 더욱 약화되었고, 시민은 정치에 수동적이게 되었다.
이러한 배경과 함께 최근에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ocial Network Service, 이하 SNS)가 정치적으로 주목을 받고 있다. 그 이유는 기존의 대의민주주의의 정치적 위기와 한계를 극복하고, 개별 시민이 의제 설정이나 의사 결정 과정에 직접 참여하고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는 직접 민주주의의 가능성을 보여주기 때문이다.
하지만 현재의 SNS의 공론장의 역할에 대한 역기능과 한계를 보여주고 있다. 본 논문은 이를 사례를 통해 논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상대적으로 소홀히 다루어진 문제를 다룸으로써, SNS의 공론장의 역할에 대한 역기능과 한계를 재조명하고, 현재의 문제점을 보완하여 앞으로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Ⅱ. 본론
1. 정치적 공론장으로서 SNS의 역할 의의
SNS는 인터넷을 기반으로 툴이나 플랫폼을 통해 공통의 관심사를 지니고 있는 사용자들 간의 관계 형성을 돕고, 이렇게 형성된 지인 관계를 바탕으로 인맥관리, 정보 및 콘텐츠 공유, 적극적인 자기 표현 등 다양한 활동을 통해 관계를 확장시킬 수 있도록 지원하는 서비스를 의미한다(위키피디아). 최근 우리가 SNS를 명명하는 것은 협의의 SNS로 페이스 북(facebook), 트위터(twitter), 미투데이(me2day), 카카오스토리(kakaostory) 등이다.
참고 자료
한국정보화징흥원. 빅데이터 전략연구센터(2012): 빅데이터 시대! SNS의 진화와 공공정책
금혜성: SBS 전문연구 위원: 소셜 시대의 참여 민주주의
정보통신정책연구원(2010): 소미디어에서 온라인 정치담론의 특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