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과거
연예인 스케줄 관리를 해주던 영세한 연예 기획사
- 환경변화
1992년 SBS등장
방송사의 전속제 폐지 탤런트 공채 포기
외주 제작의 법적 의무화
케이블 TV 시대의 개막
- 현재
엔터테인먼트 콘텐츠의 원소스인 ‘스타’를 체계적인 방식으로 기획, 생산하고, 유통 창구
관리 및 소득 창구인 팬클럽까지 관리하는 포괄적인 역할로 바뀌었습니다.
<중 략>
시사점
1. 이제 음악 프로덕션 회사는 음악만을 전문으로 취급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수직적, 수평적
통합을 통해 음악에서부터 드라마, 라디오, TV프로그램, 광고 등을 망라해 취급하는 복합/종합/
엔터테인먼트 회사의 형태로 발전
2. 종합형 엔터테이너’로 변화함에 따라 스타와 관련된 파급상품을
적극적으로 소비할 수 있는 팬층은 회사측에 있어서 중요한
수익 풀(profit pool)이 되었다.
3. 글로벌 한류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