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교육공학연구방법론 보고서로 제출하였던 자료입니다.
학습조직이나 협동학습에 대해 보고서 작성하거나 소논문 작성에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1. 협동학습의 개념 및 적용모형
1.1 협동학습의 정의와 속성
1.2 협동학습의 적용모형
2. 웹기반 교육(Web-Based Instruction) 및 협동학습
Ⅲ. 연구방법
1. 연구대상
2. 연구설계
3. 학습조직의 컴퓨터 기반 협동학습 모형 및 시스템 설계
4. 검사도구
5. 연구절차
6. 분석방법
본문내용
Ⅰ. 서 론
지식정보화 시대가 되면서 중소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기업의 지식 생산, 축적, 관리가 중요하게 여겨지고 있으며, 중소기업 재직근로자의 능력개발 향상을 위한 지속적인 교육훈련과 학습이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기업에서 이뤄지는 직무교육은 주로 집체교육이나 이러닝으로 이루어졌지만 최근에는 기업에서 요구되는 다양하고 빠르게 변하는 지식을 습득하기에는 기존의 교육으로는 대응하기 어렵게 됐으며, 중소기업의 열악한 사정으로 인해 업무 시간에 별도의 교육시간을 할여하는 것이 어렵기 때문에 대부분의 중소기업은 직원들의 직무능력향상을 위한 별도의 교육은 거의 이뤄지지 못하고 있다. 실제로 산업인력공단에서 실시하는 사업주훈련지원사업에서 다양한 훈련사업에 고용보험으로 비용을 지원하고 있지만 대기업을 제외한 중소기업은 약 30%밖에 참여하지 않고 있다. 그러므로 기존의 집체 교육이나 이러닝 교육의 한계는 드러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중 략>
1.2 협동학습의 적용모형
협동학습 모형은 집단간의 상호 관계가 경쟁적 혹은 협동적인 관계에 의하여 학습자-팀 학습(Student-Team Learning) 유형과 협동적 프로젝트(Cooperative Projective) 유형으로 나뉘어 진다. 다양한 협동학습 모형이 갖는 공통적인 속성은 협동학습을 수행하는 교수자와 학습자가 서로 주체적인 위치에서 자신에게 필요한 내용이나 의견을 공유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속성은 바로 구성주의가 지향하는 주체적이고 자발적인 교육을 가능하게 하는 기반기술이 될 수 있다. 협동학습을 협동학습에 교육적으로 접목하는 방안은 크게 학습자간의 동료교수와 학습 자료의 공유라는 관점에서 생각해 볼 수 있다. 즉, 각 학습자들이 웹에서 검색을 통하여 얻은 학습 관련 자료의 공유와 동료교수법을 통하여 학습자들은 서로 가르치고 배우는 관계 속에서 학습에 대한 기억을 보다 장시간 동안 유지할 수 있다(서원석, 김현철, 이원규, 2002).
참고 자료
김재중, 성백 (2005), 웹기반 협동학습(WCL:Web Based Collaborative Learning)에서의 협동적 성찰 전략, 기독교교육정보, 297-320.
노태희, 박수연, 임희준, 차정호 (1998), 협동학습 전략에서 소집단 구성 방법의 효과,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8(1), 61-66.
류영란, 박선주 (2000), 소집단 협동학습을 통한 웹기반 문제해결학습 시스템의 개발 및 적용, 한국정보교육학회논문지, 4(2), 285-293.
박기범 (2009), 사회과 디지털 수업론, 교육과학사.
서원석, 김현철, 이원규 (2002), 학습자간의 상호작용 강화를 위한 웹기반 협동학습의 구현 및 적용, 한국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5(4), 1-8.
안성훈, 여상한, 고대곤 (2004), 웹 기반 문제중심학습을 위한 협동학습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4(4), 53-63.
이효진, 김동식 (2013), CSCL에서 완성하기 과제의 소거 수준과 자신에게 설명하기 활동의 제공 방식이 협력부하 및 협동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 교육공학연구, 29(3), 541-572.
임선빈 (1998), 협동학습의 실천적 접근방안 모색, 교육공학연구, 13(2), 263-285.
한신혜, 최소영, 임철일 (2013), 초등학교 교사를 위한 교수체제설계 모형(ETISD)의 교사 인식 및 학습자 만족도에 관한 연구, 교육공학연구, 29(1), 133-1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