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공열역학실험 삼성분계
- 최초 등록일
- 2014.10.10
- 최종 저작일
- 2013.09
- 11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목차
1. Title
2. Date
3. Purpose
4. Principle
5. Apparatus & reagents
6-1. Procedure
6-2. Procedure
7. Data sheet
9. Result
10. Discussion
11. Reference
본문내용
1. Title: 삼성분계 상태도
2. Date : 2013.11.8
3. Purpose: 이 실험의 목적은 3성분계의 상호용해도(mutual solubility)와 맺은선(tieline)을 삼각 그래프에 도시하는데 있다.
4. Principle:
Gibbs의 상규칙(phase rule)에 따르면 온도, 압력, 농도만이 평형에 영향을 미친다면 자유도 F(degree of freedome)는 다음과 같이 표시된다.
<중 략>
3성분계에서 이다. 이와같은 3성분계에서 1개의 액체상태가 존재하면 이다. 그리고 두 물질의 농도가 기입되어야 계를 완전히 표시할 수 있다. 만약 2개의 서로 섞이지 않는 액체상태가 존재하면 이고, 한 성분의 농도가 기입되어야 한다. 다른 것들의 농도는 상태도(Phase diagram)에 의해 확인될 수 있다. 그림 5-1에서 K 점은 50%B, 50%C, 0%A이고, L 점은 60%B, 30%A, 10%C이다. 그림 5-1에서 쌍 AB와 쌍 BC는 모든 농도에서 완전히 섞일 수 있다. 반면 쌍 AC는 높은 농도에 한해서만 원래 서로 섞이지 않는 두 액체의 중간농도 정도로 섞일 수 있다.
곡선 MPN내부의 성분을 가진 세 액체의 혼합물은 두 개의 분리된 액체 상태로 나누어진다. 그 곡선외부는 단일 액체 상태로 주어진다. 전체의 조성이 O로 표시되는 혼합물은, 곡선 MPN상의 점 M과 N으로 표시되는 조성의 두 개의 액상으로 분리되어, 점 M과 N으로 표시되는 두 개의 액상의 무게 비는 MO와 NO의 비로 주어진다. MN을 맺은 선이라 부른다. M의 상대적인 양은 ON/MN으로, N의 상대적인 양은 OM/MN으로 표시하고, 이 맺은선은 오른쪽이 올라갔다. 이것은 성분 B가 A가 풍부한 M보다 C가 풍부한 N에서 더욱 녹기가 쉽다는 것을 뜻한다. 점 P에서 두 용액이 같은 조성을 가지며, 이 점을 plait point라 한다.
참고 자료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606470&cid=2905&categoryId=2905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604620&cid=2905&categoryId=29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