Ⅲ. 문헌고찰
<Pulmonary thromboembolism>
1. 정의
2. 병인 및 병태생리
3. 증상
4. 진단
5. 치료
6. 간호
Ⅳ. 간호과정
1. 간호사정
2. 진단적 검사
3. 투약간호
4. 간호진단
5. 결론
Ⅴ.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서론(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본 case 환자는 병동에서 입원해 계시다가 dyspnea로 Spo₂ 80% 까지 떨어지면서 ICU로 오시게 되었다. ICU로 오셨을 당시 O₂ reserve mask full/min 공급중이였나 입을 벌리고 가뿐 호흡을 observation 할 수 있었고, ICU로 오시면서 보호자가 항상 상주를 못하기에 불안해 하는 환자분의 정서적 지지를 하면서 환자분의 호흡관란 증세를 주기적으로 살펴보았고, 또한 dynamic CT에서 PTE 진단 받고 TPA 치료를 하시게 되었는데 TPA 요법에 대해서 대해서 공부를 해보고자 case study를 진행하게 되었다.
Ⅱ.연구기간 및 방법
-연구기간: 03월19일~03월22일
-연구방법: 환자 본인과 보호자의 직접 면담, 신체검진과 문진, 환자의 chart, 관련 문헌 등 을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Ⅲ. 문헌고찰
1. 정의
-폐는 몸에 필요한 가스 교환을 하는 것이 주된 기능을 하는데 이를 위하여 폐에는 우심실로부터 나오는 폐동맥이 폐 전체에 걸쳐 분지되어 있으며, 이후 모세혈관을 지나 가스 교환을 하고 난 후 폐정맥을 통해 좌심방으로 들어가게 된다
<중 략>
⑦처방된 TPA 약물을 RN 선생님이 투여하는 것을 관찰하였고, 환자는 약물의 부작 용인 출혈의 양상을 보이지 않았다.
간호평가
-ABGA는 정상 수치보다 낮았다.
-2~3일 안에 어제 보다는 숨쉬기가 조금 나아 졌다고 말하였다.
-반좌위를 취해주거나 체위변경을 해드리면 coccyx 부위에 약간의 sore 가 있어 불 편하다면서 침대를 내려 달라고 하고 반좌위를 유지하는게 힘들었다.
5. 결론
case 환자분은 응급실 실습 때 뵈었던 분으로 dyspnea 호소 하시면서 ICU로 오셨고 dynamic CT에서 PTE 소견이 나와서 혈전용해제 치료를 하게 되었다. 이 환자분의 경우 올 1월 femur neck fx로 OP를 하고 요양병원에서 와상 생활을 계속 해오셨다. 그러다 보니 움직임이 적어 지면서 PTE가 오게 된 것 같다. 그래서 TPA 치료를 시작하였고 별다른 합병증을 보이지 않으면서 치료를 잘 받고 계신다.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