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총의 학문과 인식 변화
- 최초 등록일
- 2014.09.25
- 최종 저작일
- 2013.11
- 12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000원
목차
1. 머리말
2. 신라의 유학
3. 설총의 학문
4. 설총에 대한 인식의 변화
1) 설총의 문묘 종사
2) 조선시대의 설총에 대한 평
5. 맺음말
본문내용
Ⅰ. 머리말
유학은 삼국시대에 수용된 이후 오랫동안 역사적 기능을 담당하였다. 고대국가 시기에는 유교적 정치제도가 수용되었으며, 통일 후 유교적인 이념과 정치제도는 전제왕권 강화에 이바지하였고, 고려시기에도 중앙집권체제를 구축하는 데 기여하였다. 더 나아가 조선시대에는 성리학 이념으로 유교적인 사회체제와 생활방식이 보편화하기에 이르렀다. 이렇게 우리나라에서 유학은 역사 발전에 따라 일정한 사상적 기능을 담당하며 전개되어왔다.
그런데 우리의 사상사는 외래의 사상을 토착 사상으로 만드는 노력이상당한 부분을 차지한다. 삼국이래로 유학을 이해하여 우리 사상으로 만들려는 노력이 계속되었다. 조선시대에 성리학의 경서를 해석하여 성리학을 조선화하는 데 결정적으로 기여한 학자가 퇴계 이황과 율곡 이이였다면, 신라와 고려시대에 한당유학의 경전을 해독하는 데 가장 크게 기여한 학자는 설총이었다. 설총은 한문을 풀이하는 방법을 창안해 내어 최초로 유학의 경전을 풀이하였으며, 그의 경전풀이는 고려시대까지 통용되었다. 그래서 설총은 고려시대 문묘에 종사되었고, 오늘날에도 우리나라 사람이면 설총을 알고 있다.
본고에서는 유학사상사적 측면에서 설총의 학문과 업적을 검토해보고자 한다. 국문학과 달리 유학사상의 측면에서는 설총의 자료가 드물기에 모든 유학사상사 책에서 설총을 언급하면서도 개설적 언급에 그치고 있다. 본고에서도 한계를 극복하지는 못하였지만 유학사상의 전반적 흐름과 관련하여 설총에 관한 기존의 자료를 검토함으로써 설총 학문의 성격과 사상사적 위치를 확인해 보고자 한다.
Ⅱ. 신라 유학
삼국은 고대국가로 성장하고 전제 왕권을 확립함에 따라 불교와 함께 유교적인 정치이념과 제도를 수용하였다. 불교는 고대국가에 걸맞는 통일적인 세계관을 제공해주었고, 유학은 국가의 운영 원리와 정치제도를 제공하여 왕권의 전제성을 뒷받침해주었던 것이다. 그리하여 삼국은 고대국가로 성장하면서 불교를 공인하고 유교적인 학교제도와 율령체제를 채택하기에 이른다.
참고 자료
김항수 1987 「16세기 경서언해의 사상사적 고찰」, 『규장각』 10
김향수 2001 「신라 유학과 설총의 학문」 『10월의 문화인물』 국립국어연구원
김향수 2004 「한국사학 : 신라 유학과 설총의 사상」 『韓國思想과 文化』 한국사상문화학회
이병도 1987 『한국유학사』
안병희 1978 『중세 국어 구결의 연구』, 일지사
안병희 2001 「문자사에서 본 설총의 위치」한국정신문화연구원 한민족문화연구소주최 학술대회 발표문
이민홍 2001 「韓文化의 형성과 전개에 있어서 薛聰의 位像」 『語文硏究』 韓國語文敎育硏究會
김향수 2001 「신라 유학과 설총의 학문」 『새국어생활』 국립국어연구원
『삼국사기』 권 46, 열전 6, 薛聰
『삼국유사』 권 4, 義解, 元曉不覊
『제왕운기』
『대명률직해』
『경상도지리지』
『동국여지승람』
『여지도서』
『태종실록』
『세종실록』
『성종실록』
『선조실록』
『퇴계속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