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머리말
Ⅱ. 궁예의 탄생
Ⅲ. 궁예의 신라와의 대립
Ⅳ. 후고구려 성립과 수도 천도
Ⅴ. 궁예와 미륵사상
Ⅵ. 맺음말
본문내용
Ⅰ.머리말
궁예는 폭군이면서 그리고 그는 미친 왕이라고 사람들은 비판을 한다. 하지만 그의 집권은 너무나 짧았기에 쓰였기에 그렇게 표현이 되지 않았나? 생각한다. 궁예는 어렸을 때 신라에게 버림을 받아 후고구려라는 나라를 세우고 이상적인 나라를 만들기 위해 미륵 사상을 강력하게 주장을 하였다. 하지만 그의 정책은 결국 숲으로 돌아갔다. 그는 더욱더 폭군이 되어갈 수밖에 현실을 받아 들여야 했을지도 모른다. 하지만 후고구려라는 나라가 있었기에 왕건이 존재하였고, 그리고 고려가 세워 후삼국 통일이라는 과업을 남겼을지도 모른다.
그래서 더욱더 이글을 통해 실패하였던 어떤 정책을 펼치기 위해 노력하였는지 알아야 봐야 하고 그의 주장한 미륵 사상으로 이상세계를 어떻게 다스리기 위해 펼쳤는지 알아보도록 해야 할 것이다.
Ⅱ.궁예의 탄생
그는 857년 음력 5월5일 그의 외가에서 태어났는데, 날 때부터 이가 나 있었으며, 그가 태어났을 때, 그 지붕 위에 달빛처럼 보이는 하얀 빛이 아른거리며 긴 무지개처럼 위로 하늘까지 뻗쳐 있었다고 한다. 이에 일관은 왕에게 아이가 태어난 시기, 나면서부터 있던 이, 광염 모두가 국가에 이롭지 못한 아이를 뜻하는 것이라며, 아이를 그냥 놔두어선 안 된다고 고하여 이에 왕은 군사들을 보내 궁예를 죽이라는 명령을 내렸다. 왕명을 받들어 군사들은 곧바로 강보에 쌓인 궁예를 빼앗아 높은 누각에서 아래로 던져버렸다.
그때 유모가 몰래 받아 겨우 목숨을 건졌지만, 유모가 아기를 받을 때 잘못 받아 손가락으로 눈을 찌르는 바람에 한쪽 눈이 멀게 되어 애꾸가 되고 말았다. 유모는 아기를 안고 그 길로 멀리 떠나 숨어서 온갖 고생을 다하며 키웠다. 그러나 그가 10여세가 되자 유희(遊戱)하기를 마다하지 않아 유모는 “네가 나서 나라의 버림을 받은 것은 내가 차마 보지 못하여 남모르게 길러 오늘에 이르렀는데, 너의 미친 행동이 이러하니 반드시 남들이 알게 될 것이다.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