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경대학교 전기기기및실험 레포트, RLC 값의 측정
- 최초 등록일
- 2014.09.21
- 최종 저작일
- 2013.09
- 20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할인쿠폰받기](/images/v4/document/ico_det_coupon.gif)
목차
1. 실험 목적
2. 실험장치(부품) 및 계측기기
3. 준비 지식
1) 저항의 재료에 따른 종류를 조사하고 그 특징과 용도를 파악한다.
2) 저항에 표시된 색띠 코드로부터 저항 값의 크기를 구하는 방법을 조사한다.
3) 교류회로에 사용되는 커패시터와 인덕터의 특성, 종류 및 용도를 파악한다.
4) 저항, 인덕턴스, 커패시턴스의 단위를 조사한다.
5) 멀티미터, LCR미터의 사용 방법에 대해 조사한다.
6) 가변저항의 작동원리와 저항의 정격전력에 대해 이해한다.
4. 실험
1) 고정저항 값 측정(멀티미터 사용)
2) 가변저항 값 측정(멀티미터 사용)
3) 인덕터 값 측정(LCR미터 사용)
4) 커패시터 값 측정(LCR미터 사용)
5. 고찰
1) 각 실험 결과를 그래프로 나타내고, 오차의 발생 원인을 분석하고 추론한다.
2) 오차의 신뢰 수준에 대해 검토한다.
3) 저항의 재료에 따른 오차의 크기 변화를 고찰한다.
4) 가변저항에서 회전각에 따른 저항값의 변동 원리를 고찰한다.
5) 실험에 사용한 저항의 정격전력 값을 조사하고 그 의미를 파악한다.
6) 인덕터와 커패시터는 사용 시 크기(값) 외에 무엇을 고려해야 하는지 조사한다.
7) LCR미터를 이용한 인덕턴스와 커패시턴스 측정 원리를 고찰한다.
8) 저항, 인덕터, 커패시터의 기본 단위의 의미를 고찰한다.
9) 저항, 인덕터, 커패시터의 부품에서 사용되는 기준 단위를 고찰한다.
10) 기타 언급되지 않은 사항 가운데 고찰이 필요한 부분에 대해 기술한다.
6. 후기
7. 참조
본문내용
1. 실험 목적
1) 멀티미터(multimeter)를 이용하여 저항을 측정하는 방법과 저항에 표시된 색띠 코드를 읽는 방법을 익힌다.
2) LCR미터를 이용하여 커패시턴스(capacitance)와 인덕턴스(inductance)의 크기를 측정하는 방법을 익힌다.
2. 실험장치(부품) 및 계측기기
1) 각종 저항(고정저항, 가변저항), 커패시터 및 인덕터
고정저항 가변저항
커패시터 인덕터
2) 멀티미터 3) LCR미터
3. 준비 지식
1) 저항의 재료에 따른 종류를 조사하고 그 특징과 용도를 파악한다.
① 탄소피막저항 원통형의 세라믹에 탄소피막에 의한 저항체를 형성하는 저항값을 미세조정하기 위해 나(螺)선조에 홈을 자른 것. 저항값의 정도는 일반적으로 ±5%(J), 10%(K)이 많이 쓰인다. 온도특성은 부특성(온도상승으로 저항값이 하락)으로 온도계수는 -200ppm/℃ ~ -800ppm/℃.
<중 략>
AC는 계속해서 도선의 전류의 방향이 바뀌니까 주변 자기장도 모양을 바꿔야 한다. 그러나 자기장은 상태를 유지하려 하고 전류의 방향은 계속 바뀌니까 AC의 경우는 도선에 전기적 노이즈가 생성된다. 이 때 도선에 인덕터를 달면 자기장의 모양이 바뀌지 않으려 하니까 도선 외부 영향에 의해 생기는 작은 노이즈들이 모습을 바꾸지 않으려는 자기장이 유도하는 전류에 의해 사라진다. 실제 회로설계에서 인덕터는 이렇게 전류 노이즈를 제거하는데 쓰인다.
③ 커패시터:
커패시터는 얇은 도체를 가까이 배치한 모양이다. DC의 경우 전압 변화가 없으니까 판이 하나의 전하로 대전이 되면 변화가 다른 전하로 다시 대전되지 않는다.
다시 말하면 DC는 커패시터를 통과하지 못해 전류가 흐르지 않는다. 하지만 AC의 경우 대전의 양상이 계속 바뀌니까 마주보고 있는 다른 대전판의 +, -도 계속 바뀌고 반복되면 마치 전류가 그냥 통과해서 흐르는 것처럼 된다. 즉, 콘덴서는 DC는 막고 AC는 흘리는 특성을 이용해 노이즈를 제거한다.
참고 자료
Floyd Buchla(2011). 《기초전기전자공학》 청문각.
http://blog.naver.com/tw1987 (Sep 26, 2013)
http://blog.naver.com/mr_crazy (Sep 26, 2013)
http://blog.naver.com/PostView (Sep 26, 2013)
국제 테크노 정보연구소, http://www.ktechno.co.kr (Oct 2, 2013)
http://blog.naver.com/yyy1974 (Oct 2, 2013)
http://blog.daum.net/kadohwa/16 (Oct 2, 2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