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족 스트레스 및 가정폭력과 가족의 건강
- 최초 등록일
- 2014.08.28
- 최종 저작일
- 2013.04
- 13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500원
목차
1. 가족 스트레스
1) 가족 스트레스의 개념
(1) 가족 스트레스
(2) 가족위기
(3) 가족긴장
2) 가족 스트레스의 요인
(1) 스트레스원 ⇒ 스트레스를 일으키는 외부적 자극.
(2) 스트레스를 유발하는 생활사건
(3) 가족체계에 영향을 미치는 스트레스원
3) 가족의 대처와 적응
(1) ABCX 가족 위기 모델
(2) Double ABCX 가족 스트레스 모델
(3) ABCD-XYZ모델 : Dollahite
(4) 인지적 과정으로서의 대처 ⇒ Lazarus의 인지적 관점과 현상학적 관점에 기초함.
2. 가정폭력
1) 가정폭력의 개념
2) 가정폭력에 대한 신화
3) 가정폭력의 원인
(1) 부부폭력의 원인
(2) 아동학대의 원인
(3) 노인학대의 원인
4) 가정폭력의 과정
5) 가정폭력의 실태
(1) 부부폭력의 실태
(2) 아동학대의 실태
(3) 노인학대의 실태
6) 가정폭력의 대책
7) 가정폭력범죄의 처리 과정
3. 건강한 가족
1) 건강한 가족의 개념
2) 건강한 가족의 요소
(1) 균형잡힌 응집성과 적응성
(2) 긍정적인 의사소통
(3) 상위체계와의 연계
3) 건강한 가족이 되기 위한 전략
본문내용
(1) 가족 스트레스
어떠한 사건이나 상황으로 인해 가족체계에 변화를 요구하는 압력이 가해짐으로써 평형상태에 변화가 오고, 안정된 가족에 혼란이나 긴장이 초래되는 것이다. 이로 인해 가족에게 언제나 해로운 영향을 미치는 것은 아니나 부정적으로 작용할 경우는 가족원들이 불만을 느끼거나 신체적, 정서적으로 혼란의 증상을 보이는 등 스트레스의 정도가 지나치게 높거나 낮을 때이다.
<중 략>
① 부부폭력 : 아내구타, 배우자 폭력, 배우자 학대 등이다. 우리나라에서는 부부폭력이라는 용어가 선호되고, 서구에서는 배우자 학대라는 용어로 대체하여 사용한다.
② 아동학대 : 아동의 동등한 권리와 자유를 박탈하거나 성장발달과 잠재 가능성을 저해하는 모든 행위로 방임도 학대이다.
③ 노인학대 : 신체, 정서, 언어적 학대와 방임, 경제적 착취, 유기. 노인학대신고(1577-1389)
④ 가정폭력 : 정서적, 언어적, 신체적, 성적 폭력으로 구분된다.
⑤ 언어적 폭력 : 말로써 위협하여 겁을 주거나 큰소리로 욕하는 것, 저주하는 말, 모욕적인 말
⑥ 신체적 폭력 : 따귀 때리기, 발로 차기, 주먹으로 때리기, 꼬집기, 감금, 질식, 밀치기 등
⑦ 성적 폭력 : 원치 않는 강제 성행위, 구투한 후의 강제 성행위, 위협을 통한 강제 성행위 등
<중 략>
김재엽과 동료들(1999)이 전국 1,500여 가정을 대상으로 부부폭력의 실태를 조사한 바에 의하면, 우리나라의 부부폭력 발생률은 34.1%로 부부 열 쌍 중 세 쌍 이상이 부부폭력을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중 남편에 의한 아내 구타율은 29.5%로 세 명의 남편 중 한 명꼴로 아내를 구타하고 있는 반면, 아내에 의한 남편 구타율은 17.7%로 남편에 의한 아내구타에 비해 절반 수준임.
한국보건사회연구원(1999)이 발표한 부부폭력의 원인을 살펴보면, 남편이 부인을 폭행하는 원인은 남편의 술버릇이 29%로 가장 높았고, 경제적 문제(16.5%), 남편의 자격지심 및 열등감(12%), 성격 차이(10.8%) 등.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