Ⅱ. 본론
1)질병에 관한 문헌고찰
2)각종활동보고서
3)대상자의 의학적 진단관련 문헌고찰
(1) 자료수집 및 분석
ⅰ. 대상자 사정
ⅱ. 정신상태 검사
ⅲ. 과거력
ⅳ. 가족력
ⅴ. 대상자의 현재 기능
ⅵ. 신체적 건강상태
ⅶ. 정신의학적 추정 진단(DSM IV)
ⅷ. 정신질환에 대한 치료
ⅸ. 간호과정
ⅹ. 각종활동보고서
Ⅲ. 결론
(1)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서론
1)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정신분열병(Schizophrenia)은 일반적으로 전체 인구의 1%, 즉 100명 중 1명이 평생을 살면서 적어도 한번은 경험하게 되는 정신과 질환이다. 남녀에 상관없이 유사한 발병수치를 가지고 있으며, 연령대도 다양하게 나타난다. 인지, 지각, 정동, 행동, 사회활동 등 다양한 정신기능에 이상을 초래하는 질병이지만, 임상경과, 예후 등이 좋은 질병이므로, 본 사례연구를 통해 정신분열병에 적용할 수 있는 통합적 간호를 연구하고 탐구하여 임상에서 유용한 간호를 제공하기 위해 본 사례를 Case Study 주제로 결정하였다.
2)연구대상 및 기간
2013.2.18~2013.2.28까지 시립정신병원에 입원 중인 안○○님을 대상으로 Interview, 신체검진, Chart, 간호기록, 활동요법참여, Observation, 심리검사기록지 등을 통해 얻은 자료를 수집하여 본 사례연구를 수행하였다.
<중 략>
4. 실습을 통하여 무엇을 배웠는지 기록하시오.
정신의학적 추정진단(DSM IV)에 대해 배웠다. Axis Ⅰ에 들어가는 병명은 크게 두 가지로 나뉠 수 있다. Neurosis 와 Psychosis로 나뉠 수 있는데, 이 둘의 구분은 Reality test로 나뉜다. Neurosis의 대표적인 두 가지는 anxiety, panic 이라 할 수 있고, Psychosis의 대표적인 두 가지는 SPR 과 bipolar 이라고 할 수 있다. Axis Ⅱ에는 Personality disorder, MR, BIF, 방어기제 등을 차례로 기술한다. Axis Ⅲ에는 신체질환으로 인한 정신질환을 쓴다. Axis Ⅳ에는 사회적 스트레스에 대한 내용을 쓴다. 경우에 따라 Axis Ⅴ까지 진단을 내리는 경우가 있는데 그 경우는 GAF Score을 써야 할 때 이다. GAF Score는 중요한 장애진단 기준으로 쓰인다.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