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대교부학에서 주로 다루는 서방교회의 테르툴리아누스(터툴리안)이 집필한 '보편교회의 일치' 논문에 대한 5페이 에세이
목차
I. 서론
II. 본론
III. 토의와 결론
본문내용
AD 155년경 북아프리카의 카르타고에서 백부장의 아들로 출생한2) 테르툴리아누스는 문학, 철 학, 법률에 조예가 깊었으며 저명한 변호사로 활동하였다. 당시에 극심한 로마의 그리스도교 박해 에 대해 신자들의 영웅적 순교에 감동되어 AD 193년경 기독교로 개종하였다. 개종 이후에 테르 툴리아누스는 교회의 직분자로, 사제로 교회를 섬기게 되었으며, 이 과정에서 이교도, 유대인, 이 단들의 여러 가지 이단적 가르침으로부터 기독교를 지키기 위해 변증가로서 힘을 쏟았다. 테르툴 리아누스는 ‘라틴신학의 아버지’ 라 불리고 있는데, 이는 성경을 라틴어로 번역해서 개인적으로 사용하였을 뿐만 아니라 삼위일체론의 초석을 놓은 용어들, trinitas(삼위일체), persona(위격), substantia(본질) 을 창안하였고, 가현설과 양태론 등을 논리적으로 비판한 저술활동 등을 반영한 결과이다. 테르툴리아누스의 생의 중요한 특징은 동시대에 헬라철학에 기반한 동방교회의 오리게 네스에 대적하는 높은 성경 지식을 가졌으며, 기독교와 순교에 대해 변증하고, 철학적 사변을 배 격하였으며, 성경에서 명시되지 않은 것은 모두 금지된 것으로 받아들이는 엄격한 금욕주의를 참 된 신앙으로 믿었다. 이러한 그의 열정적이며 엄격한 성정을 반영한 듯, 테르툴리아누스는 AD 207년경 이후에 ‘계시의 계속성과 엄격한 도덕주의를 주장하는’ 몬타누스파3)에 가입하는 우를 범 하기도 하였으나 그 배경이 된 것은 교회의 치리제도가 테르툴리아누스의 비타협적 견해들을 거 부하고 그것들을 실행하는 것을 거절하였기 때문이었다. AD 235년경 사망하기 전까지, 테르툴리아누스가 라틴어로 기록된 최초의 작품들 가운데 31편 이 잔류하고 있으며, 그 가운데 중요한 저작들은『이단논박』,『변증』,『그리스도의 육체에 대하 여』,『뱀이 문 상처』,『세례에 대하여』,『웅변에 관하여』,『병사의 면류관』,『우상에 대하 여』등이다.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